매일신문

홍준표 "지구당 부활… 민주당 개딸정치 강화하자는 것"

"정치 부패의 제도적 틀을 다시 마련하자는 것"
"국힘도 전당대회 원회 위원장 표심 노린 술책"
"정치, 앞으로 나아가지 않고 부패로 퇴보해 유감"

홍준표 대구시장이 29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공군호텔에서 열린 2024 새미준 정기세미나에서
홍준표 대구시장이 29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공군호텔에서 열린 2024 새미준 정기세미나에서 '선진대국 시대로 가자'란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 연합뉴스

22대 국회 개원과 함께 쏟아지고 있는 '지구당 부활'에 대해 홍준표 대구시장이 "정치 부패의 제도적 틀을 다시 마련하자는 것"이라며 지적했다.

홍준표 시장은 31일 자신의 소셜미디어(SNS)에 "지구당 폐지는 정치부패의 온상으로 지목된 지구당을 정치개혁의 일환으로 여야가 합의해 2004년 2월 일명 오세훈법으로 국회를 통과한 것"이라며 운을 뗐다.

이어 그는 "그후 그 폐지의 정당성은 헌법재판소까지 가서 확정되기도 했다"라며 "지금까지 국회의원은 지역구에서 국회의원 사무실을 둬 지역구를 관리하고 있고 낙선자들은 당원협의회를 만들어 사무실은 설치하지 못하고 당원협의회 위원장이라는 직함으로 지역구를 관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홍 시장은 '지구당 부활 논쟁은'은 "반개혁일 뿐만 아니라 여야의 정략적인 접근에서 나온말이다"라고 주장했다.

홍 시장은 "결국 정치 부패의 제도적인 틀을 다시 마련하자는 것"이라며 "민주당은 개딸정치를 강화하려는 목적이 있고 우리당(국민의힘)은 전당대회 원외 위원장들의 표심을 노린 얄팍한 술책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정치가 앞으로 나가는 정치가 되지 않고 부패로 퇴보하는 정치로 가려고 시도하는 것은 큰 유감이다"고 끝맺었다.

지구당은 과거 국회의원 지역구마다 존재했던 각 정당별 지역사무소를 뜻한다.

정당을 구성하는 기초 단위이자 민주화 이후 각 지역 당원들으 의견을 수렴, 반영하는 '풀뿌리 민주주의'의 창구 역할을 맡아왔으나 중앙당에서 지명한 지구당 위원장에게 권력이 집중되고 경비 마련 등을 위한 지역 인사들과의 정경유착이 발생하며 제대로 작동되지 못했다.

이에 20년 전 '정치적 부정부패의 온상'이라는 비판과 함께 폐지됐으나 현재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한동훈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지구당 부활을 외치면서 논의에 불을 지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