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행정통합이 발전 저해?…시·도민 불안감 해소 절실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대구경북 행정통합 우려 목소리…도청 신도시 곳곳에 반대 현수막
주민들 SNS서 단체 행동 목소리…전문가 “발전 전략 수립 서둘러야

5일 오후 경북도청 신도시(예천군 호명읍)에 대구경북 행정통합을 반대하는 현수막이 게첨돼 있다. 양승진기자 promoiton@imaeil.com
5일 오후 경북도청 신도시(예천군 호명읍)에 대구경북 행정통합을 반대하는 현수막이 게첨돼 있다. 양승진기자 promoiton@imaeil.com

연내 대구경북 행정통합 특별법을 제정하고, 2026년 7월 1일 통합 자치단체를 출범시킨다는 로드맵이 제시된 가운데(매일신문 6월 5일 보도) 상대적으로 낙후한 경북 시·군의 통합 반대 목소리와 불안감 해소가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과거에도 반대 여론으로 진통을 겪었던 만큼 통합을 위한 시·도민 공감대 형성과 통합 이후 발전 전략 수립을 서둘러 추진해야 한다는 것이다.

홍준표 대구시장과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이상민 행정안전부장관, 우동기 대통령직속 지방시대위원장과 간담회를 갖고 오는 2026년 7월 1일에 통합자치단체를 출범시키는데 합의했다. 이를 위해 대구시와 경상북도가 시·도의회 의결을 거쳐 연말까지 '대구경북 통합 특별법' 제정을 추진하기로 약속했다.

이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과제는 500만 시·도민이 공감할 수 있는 통합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 제언이다. 5일 경북도청 신도시(예천군 호명읍)과 예천읍 원도심 내에는 '행정통합 반대'를 주장하는 현수막이 게시됐다. 현수막을 게시한 주민은 이날 매일신문과의 통화에서 "통합을 반대하는 주민들이 SNS 모임 등을 통해 단체 행동에 나서자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통합이 북부권 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고 전했다.

앞서 3년 전 통합 추진 당시 여론조사 결과에서도 통합에 찬성하는 시·도민이 과반에 못 미쳐(45.9%) 논의가 중단된 전례가 있다. 통합이 되면 지역 균형 발전을 이유로 2016년 경북도청이 이전한 취지가 무색하게 대구를 중심으로 발전축이 구축돼 북부권 소멸 위기가 가속화될 수 있다는 불안감이 컸다.

이에 따라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도 4일 회동에서 "대구경북 주민들이 지지하는 통합방안을 만들어 가기를 희망한다"며 시·도민 공감대 형성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경북도는 이 같은 공감대 형성을 위해 상대적으로 발전이 더딘 북부권을 비롯해 도내 각 권역별로 통합 이후 구체적 발전 전략을 수립할 방침이다. 경제, 인프라, 교육, 문화, 투자유치 계획 등이 포함된 맞춤형 발전 전략을 바탕으로 반대 목소리를 내는 주민들의 우려를 해소하겠다는 것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도 지난달 통합 논의가 재점화된 이후 자신의 페이스북 등을 통해 수차례 지역 내 균형발전 방안 마련을 가장 강조해 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