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황우여 비상대책위원장이 차기 전당대회에서 당 대표 궐위 등 비상시에 수석 최고위원이 당 운영을 잇는 '승계형 지도체제' 장점을 강조했다.
황 위원장은 11일 SBS 라디오에 출연해 승계형 지도체제가 차기 지방선거와 대선 일정, 대표 임기 등을 고려할 때 최적의 대안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승계형 지도체제는 당 대표 선거 1위 득표자가 대표, 2위 득표자가 수석 최고위원을 맡는다. 현행 단일 지도체제와 달리, 당대표 궐위 시 수석 최고위원이 당대표직을 승계받는다는 점이 다르다.
황 위원장은 당장 이번 전당대회에 "대권주자들이 나온다고 한다면 내년 9월이면 사임해야 하는데, 그러면 다시 4∼6개월에 걸치는 비대위 체제가 들어설 것이고, 그다음에 바로 어떻게 지방선거를 치르나. 그런 것이 굉장히 걱정된다"고 말했다.
현행 당헌에 따르면 대권에 도전하려는 대표는 대선 1년 6개월 전인 내년 9월까지 물러나야 한다. 대표가 임기 2년을 채우지 못한 채 물러나고, 다시 비대위 체제로 전환하거나 전당대회를 열어 당 대표를 또 뽑아야 한다.
승계형 지도체제에서는 대표가 물러나더라도 수석최고위원이 대표직을 승계할 수 있어 단일지도체제를 유지할 수 있고, 한동훈 전 비대위원장 등 대권 주자들의 당권 도전 부담을 줄여 전대 흥행도 담보할 수 있다는 것.
황 위원장은 아울러 "후계자가 있어서 '나는 조용히 나가도 당은 그대로 유지된다'고 하면 (유력 대권 주자들의) 부담이 훨씬 적을 것"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