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고려대 의대도 "18일 의협 전면 휴진 동참"

서울의대 교수와 대한의사협회(의협)의 집단휴진 계획 발표에 이어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가 12일
서울의대 교수와 대한의사협회(의협)의 집단휴진 계획 발표에 이어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가 12일 '전체 휴진' 여부를 결정하는 등 의정갈등이 격화하고 있는 가운데 11일 오전 서울 시내 한 대형병원에서 한 환자가 응급실 앞에서 대기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한의사협회(의협)가 오는 18일 하루 일제히 진료를 멈추는 집단 휴진에 들어가겠다고 밝힌 가운데,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들도 전면 휴진에 동참하기로 했다.

고려대 안암병원과 구로병원, 안산병원 등이 속한 고려대 의대 비상대책위원회는 11일 "10~11일 이틀에 걸쳐 진행된 투표 결과, 의대 교수들은 18일 전면휴진에 참여할 것이며, 90% 이상의 교수들은 향후 의협 주도하에 단일대오로 의료사태에 대응을 해야 한다는 데 뜻을 모았다"고 이같이 밝혔다.

비대위는 정부가 의료계를 '집단이기주의'로 몰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전공의들과 학생들이 수련과 학업 현장을 떠난 지 3개월이 지났다"며 "그동안 정부는 전공의의 7대 요구안은 물론, 의대 학장단 협의회, 한림원 의견이나 전국의대교수 비상대책위원회(전의비)의 어떠한 중재안에도 한발도 물러설 수 없다는 입장만 고수하면서 의료계의 의견을 집단이기주의로 (몰아가는) 여론몰이에만 집중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지난 4일 보건복지부 장관은 전공의 사직 금지 명령과 업무개시 명령 철회 발표로 전공의 복귀를 독려하는 한편, 미복귀 및 사직하는 전공의에 대해서는 면허정지 3개월을 준비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의협의 집단 휴진 결정은 전공의와 의대생들을 보호하기 위한 교수들의 호소라고 강조했다.

비대위는 "이는 지난 3개월 동안 의료 붕괴를 온몸으로 막으면서 후배와 제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노력했지만, 정부의 독단과 비과학적인 정책에 의료계와 의대 교수들이 더 이상 할 수 있는 수단이 부재한 상황에서 정부와 국민께 호소하는 전 의료계의 결집된 호소"라고 덧붙였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