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도,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 위해 행정력 초집중

분산에너지 활성화 용역 추진상황 및 사업모델 공유, 추진전략 논의
지역별 전기요금제 조기 정착 위한 광역자치단체간 공동포럼 추진 등

경북도청 전경. 매일신문 DB
경북도청 전경. 매일신문 DB

경상북도가 '경북형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을 위해 행정력을 집중한다. 본격 시행된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이하 분산에너지법)의 제1 광역지자체로 입지를 다지기 위함이다.

경북도는 27일 '경북형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세부계획 수립'을 위한 전문가 및 시군 공무원 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에는 도내 시군 공무원을 비롯한 에너지 관련 학계 및 기업 전문가, 경북연구원 관계자 등이 참석해 분산에너지 활성화 용역을 시행 중인 경북도 및 각 시군의 추진 상황과 특화 지역 사업모델 등을 공유하고, 세부 추진 전략에 대해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경북도는 특화지역 사업모델로 지역의 다양한 분산에너지원과 대규모 에너지수요처 등을 고려해 산업단지형, 항만형, 원자력 청정수소형 모델 등을 제안했다.

도내에는 포항, 경주, 영덕, 울진 등 4개 시군에서 특화지역 지정 신청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자체 연구용역을 추진 및 예정하고 있다. 이들 시군은 경북도 등에서 제안한 특화지역 사업모델에 대해 적극 반영할 의사를 표시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 밖에도 경북도는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 및 지역별 전기요금제 시행과 관련해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선제 대응에 나서왔다.

지난해 8월부터 에너지 분권 포럼을 운영해 전기요금제 분과와 지역경제 활성화 분과 등 전문가 그룹을 구성하고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운영방안 ▷지역별 전기요금제 도입 및 실행 방안 ▷분산에너지법 하위법령 제정 등에 대해 행정력을 집중해 왔다.

아울러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계획 수립 등을 위해 연구용역비를 추가경정예산에 편성해 시행에 나섰으며, 각종 세미나와 정책토론회 등을 개최해 경북이 주도하는 분산에너지 활성화 방안을 마련했다.

앞으로 경북도는 참여형 '경북 분산에너지 추진협의체'를 구성 및 운영하고, 전력 자급률이 높은 비수도권의 광역자치단체들과 연대해 공동포럼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김병곤 경상북도 동해안전략산업국장은 "경북도는 신재생에너지 보급의 지리적 여건이 우수하고 국내 원전의 절반을 보유하고 있어, 전력 자급률 또한 높아 분산에너지 사업의 최적지로 특화지역 지정을 위해 모든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