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국학진흥원이 문중 기탁 자료 가운데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높은 새로운 자료 발굴과 함께 이들 자료의 국가유산 지정 신청을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다.
진흥원은 7일 "조선 초기 금속활자로 찍은 '사학지남'(辭學指南)을 비롯해,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문과 시권 2점 등 5종에 대해 국가유산으로 지정 신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안동김씨 해헌고택에서 기탁한 '사학지남'은 송나라 왕응린(王應麟)이 편찬한 것으로 글 짓는 방법과 사례를 정리해 과거에 대비하게 한 지침서다.
이 책은 조선시대 최초의 금속활자인 '계미자'(癸未字)의 단점을 보완해 세종이 다량의 인쇄가 가능하도록 1420년(경자년)에 만들어진 두 번째 활자인 '경자자'(庚子字)로 인출한 것이다.
책의 끝에는 이천(李蕆)과 남급(南汲)이 담당하고 김익정(金益精)과 정초(鄭招)가 감독 업무를 관장해 활자를 만들었다는 내용을 기록한 '주자발문'(鑄字跋文)이 있어 눈길을 끈다.
세종의 지대한 관심 속에 주조됐던 조선 초기 활자 인쇄술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자료다.
임진왜란 당시 의병장으로 활약한 호수(湖叟) 정세아(鄭世雅·1535~1612)의 종가인 영일정씨 호수종택에서기탁한 '정종소(鄭從韶) 문과 중시 시권'은 현존하는 조선시대 시험지 가운데 가장 오래된 자료다.
당시 현안에 대해 국왕의 질문에 답한 '대책'(對策·세로 76㎝ 가로 244㎝)과 '팔준도'에 대해 국왕에게 올린 '전문'(箋文·세로 75㎝ 가로 128㎝) 2점으로 구성돼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