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클라우드는 미래에셋증권의 자체적 IT 인프라 구축을 위한 작업에 자사의 경량 모델 '하이퍼클로바X 대시(이하 HCX-DASH)'를 사용해 금융 환경에 특화된 sLLM(소형언어모델)을 환경에 맞춰 작업을 완료했다고 18일 밝혔다.
네이버클라우드는 보안 이슈로 클라우드 기반의 생성형 AI 도입을 부담스러워하는 공공과 금융 분야 기업들이 온프레미스(On-premise: 기업이 자체적으로 IT 인프라를 구축) 환경에서 생성형 AI를 활용할 수 있도록 주요 파트너사들과 함께 LLM 구축형 비즈니스를 시작했다.
네이버클라우드 관계자는 "'구축형 LLM'은 퍼블릭 클라우드가 아닌, 기업이 자체적으로 보유한 IT 인프라 내에서 구현되는 모델이다"라며 "이번 LLM 구축형 비즈니스의 첫 사례가 미래에셋증권이다"고 설명했다.
네이버클라우드는 HCX-DASH 모델과 함께 미래에셋증권이 보유한 데이터를 학습시킬 수 있는 클래스 코드 및 기술 지원을 제공하고, 미래에셋증권은 이를 기반으로 사내 데이터를 학습시켜 금융 업무에 최적화된 sLLM을 구축했다.
미래에셋증권은 사내 AI 적용을 위해서는 업무별로 특화된 소형언어모델 구축이 효율적이라고 판단, HCX-DASH을 도입해 사내 시스템에 활용하게 됐다.
네이버클라우드 임태건 전무는 "네이버클라우드는 기업 인프라에 설치해 사용할 수 있는 '구축형'까지 갖추며, 고객사가 생성형AI 사용 목적과 환경에 따라 원하는 형태로 선택해 사용할 수 있는 라인업을 한층 더 강화하게 됐다"라며 "특히 '구축형 LLM'은 보안의 이유로 클라우드 형태의 LLM 사용이 어려웠던 공공과 금융 기업들이 생성형 AI를 활용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