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연금개혁' 논의에 탄력이 붙은 가운데 후속 처리까지 속도를 내야 한다는 주문이 나온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9월 공적연금의 지속 가능성을 위한 '연금개혁 추진 계획'을 발표했다. 정부 차원에서 단일 연금개혁안을 낸 건 지난 2003년 이후 21년 만이다.
정부는 국민연금 보험료율을 현행 9%에서 13%까지 단계적으로 인상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세대 간 형평성을 고려해 보험료율 인상 속도는 출생연도에 따라 차등화하기로 했다. 명목소득대체율은 42% 수준으로 상향을 추진한다.
기금수익률은 1%포인트(p) 이상 높인다. 장기 수익률을 5.5% 위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모수개혁'과 함께 기금수익률을 1%p 높일 경우 기금소진 시점을 2072년으로 16년 늦출 수 있다는 게 복지부 계산이다. 기초연금액은 오는 2027년까지 40만원으로 단계적으로 인상하고, 퇴직연금은 규모가 큰 사업장부터 도입을 의무화할 방침이다.
김사현 대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전적으로 연금개혁이 필요한 시기다. 개혁이 미뤄지면 재정 문제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빠를수록 좋다"면서 "연금개혁에 대해서는 세대 간 공정보다 사회 통합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래픽] 연금개혁안 주요 내용(종합) (서울=연합뉴스) 원형민 기자 = 정부는 4일 올해 제3차 국민연금심의위원회를 개최해 \](https://www.imaeil.com/photos/2024/09/04/2024090420313232769_l.jpg)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에 '폴더 인사' 중진들"…국힘 초선들 '자괴감' 토로
李 대통령 지지율 70% 육박…'여론조사꽃' 조사결과
李대통령 "고신용자 부담으로 저신용자 싸게 빌려주면 안 되나"
'700조 선물 외교'에도 뒤통수 친 미국, 혈맹 맞나
나경원·한동훈 "손현보 목사 구속 지나쳐, 종교 탄압 위험 수위 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