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뇌연구원은 6일 우뇌동 1층 중강당에서 글로벌 뇌성분 분석 플랫폼 구축과 국제 공동연구를 강화하기 위해 '2024 국제 뇌지질체 심포지움'(International Symposium for Lipid-based Multi-Omics 2024)을 개최했다.
한국뇌연구원은 2022년부터 뇌지질체 관련 최적화된 질량 분석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세계 최고 분석 솔루션 업체인 애질런트(Agilent)사를 비롯해 싱가포르 국립대 및 국내 대학들과 글로벌 컨소시엄을 구성해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또 매년 국제 심포지움도 개최한다. 특히 지난해부터 한국뇌연구원에 애질런트(Agilent)사의 첨단 질량분석 장비를 도입해 세계 최대 규모의 뇌지질체 분석 플랫폼 구축과 뇌지질체 DB 확보를 추진하고 있다.
3회째인 올해 심포지엄에는 싱가포르국립대학교의 아모리 카제나베-가시옷(Amaury Cazenave-Gassiot) 교수를 비롯하여 연세대학교 문명희 교수, 한국애질런트 최진녕 차장, 충남대학교 안현주 교수, 국립암센터 김영욱 교수, 서울대학교 권성원 교수 등 국내외 석학들이 참석해 강연을 통해 최신 연구동향을 공유하고, 공동연구 전략 등을 논의한다.
윤종혁 한국뇌연구원의 책임연구원은 "지질 대사에서 생기는 변화는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및 정신분열증과 같은 다양한 뇌질환의 중요한 요인으로 밝혀져 왔기 때문에, 뇌지질체 연구가 신약 개발과 질환 치료법 개발의 새로운 분야로 떠오르고 있다"며 "글로벌 협력을 통해 세계 최대 규모의 뇌지질체 분석 플랫폼 구축과 뇌지질체 DB를 확보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