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소기업 10곳 중 7곳은 내년 수출이 올해보다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이들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영향도 미미할 것으로 내다봤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지난 11~18일 수출 중소기업 300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5년 중소기업 수출 전망 조사' 결과를 20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내년 수출이 올해 대비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는 중소기업이 74.3%로 감소할 것으로 보는 중소기업(25.7%)보다 훨씬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의료바이오 품목의 '증가' 응답 비중이 87.1%로 평균보다 높았다.
수출이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하는 이유는 '신제품 출시, 품질 개선 등 제품경쟁력 상승'으로 응답한 기업이 45.7%로 가장 많았다. 제품 선호도 증가(43.0%), 환율 상승 등으로 가격경쟁력 개선(16.6%), 주요 수출국 경기 회복(15.2%)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반면 수출이 감소할 것이라고 예상하는 이유는 주요 수출국 경기부진(61.0%), 중국의 저가수출 등으로 공급 과잉(33.8%), 관세, 비관세 장벽 확산(20.8%) 등이 있었다.

'미국 대통령 선거 결과가 수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질문에는 대미 수출 규모가 작거나 트럼프 재임 당시 큰 영향이 없었다는 의견을 들어 '영향 없다'고 응답한 비중이 43.0%로 가장 높았다.
관세 인상 등 보호무역주의 확산으로 '부정적'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보는 기업이 30.7%, 중국 기업 규제로 인한 반사이익으로 '긍정적' 영향이 있을 것이라 예상하는 기업이 15%, '모르겠다'는 기업이 11.3%로 조사됐다.
중소기업의 '수출 애로사항(1순위)'에 대해서는 '관세 인상, 인증 규제 등 보호무역주의 확산'이 29.0%로 가장 많았고, 1순위와 2순위, 3순위를 더하면 '원부자재 가격 상승'이 44.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향후 중소기업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정부가 추진해야 할 중점과제로는 '해외전시회 파견 확대'를 원하는 기업이 54.7%로 가장 많았다. 이 밖에 신규 바이어 발굴 지원 강화(51.3%), 주요 원자재 수입 관세 인하(40.3%) 등으로 나타났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중소기업들이 대체로 내년 수출 전망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지만, 주요 수출국인 미국이 관세 장벽 등을 예고하며 통상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며 "정부는 중소기업이 더 다양한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해외전시회 파견을 늘리고, 무역애로 해소를 위한 외교적 노력도 병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