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엔진 2개 모두 고장시 유압계통 이상으로 랜딩기어 작동 문제"

31일 오후 전남 무안군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현장에서 미국 국가교통안전위원회(NTSB) 소속 전문가와 미국 보잉사 관계자가 현장 조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31일 오후 전남 무안군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현장에서 미국 국가교통안전위원회(NTSB) 소속 전문가와 미국 보잉사 관계자가 현장 조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의 사망자 179명 중 174명의 신원이 확인됐다. 5명에 대해서는 현재 DNA 분석 중이다.

국토교통부는 31일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대응 브리핑을 통해 "임시 영안소에 175구가 안치되었고 장례식장에는 4구가 이송됐다"며 이같이 밝혔다.

또 "무안공항 활주로를 내년 1월 7일 오전 5시까지 폐쇄할 계획"이라며 폐쇄 기간은 수습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사고 조사 상황에 대해서는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 사고조사관 11명 및 미합동조사 인원 8명이 무안공항에 도착해 현장을 확인 중"이라며 "음성기록장치는 자료 추출을 진행 중에 있고, 비행기록장치는 추가적인 기술 검토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주종완 국토부 항공정책실장은 조류충돌(버드 스트라이크)과 조종사의 메이데이 선언 이후 상황에 대해 "사고조사 과정에서 비행기록장치, 조종사 통신, 기록 등을 통해 밝혀내야 한다"고 밝혔다. 다만 "엔진 2개 모두 고장 시 유압계통 이상으로 랜딩기어 작동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참사를 키운 원인으로 지목되는 둔덕 모양의 착륙유도장치(로컬라이저)에 대해서는 "공항을 처음 설계할 때 감안해서 최적의 방법을 찾았던 시공방식"이라며 "작년 개량사업을 진행하며 안전성 보강을 위해 상부에 30㎝ 두께의 상판을 설치해서 보강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번 사고로 둔덕 형태 시설의 교체 가능성을 당장 말하기는 곤란하다. 여러 가지 조사 결과와 점검을 통해 검토하겠다"고 덧붙였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