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아버지, 미인박명이 무슨 뜻이야?"
13년 전, 꿈속에서 만난 손주의 질문을 듣고 잠에서 깬 교사 출신 인문학자 임무출 선생은 "과연 지금의 사전으로는 이 질문에 제대로 답할 수 있을까?" 그리고 스스로에게 답했다. "직접 써야겠다"
그날의 영감을 통해 그는 사자성어 사전 집필을 결심했다. 그렇게 시작된 원고 작업은 13년간의 탈고와 7차례의 교정 과정을 거쳐, 77세의 나이에 마침내 두 권의 사전으로 완성됐다.
'사자성어큰사전'은 8천70여 개의 사자성어를 수록한 전 2권, 총 3천200쪽의 대작이다. '사자성어큰사전'은 국내 최초로 '직역'을 중심에 둔 사자성어 사전이다. 대부분의 기존 사전이 상황 중심의 의역을 택한 것과 달리, 이 책은 최대한 원뜻의 묘미를 살려 각 한자의 훈을 바탕으로 직역한 뒤 의역을 보완하는 방식을 취했다.
저자는 이를 "훈을 통한 또 다른 창작"이라고 설명한다. 예컨대 '미인박명'은 '예쁜 사람은 불행하다'는 단순한 뜻풀이가 아닌, '아름다울 미(美), 사람 인(人), 엷을 박(薄), 목숨 명(命)'으로 풀어낸다. 각 글자의 고유한 뜻을 조합해 의미를 짚어내는 방식이다.
이 책에는 중국 고전에서 유래한 익숙한 사자성어뿐 아니라, 우리나라에서 만들어진 52개의 사자성어도 포함되어 있다. 저자는 이 사자성어들의 출처를 밝히는 작업 역시 중요한 언어 연구라 강조한다.
또 사자성어를 이루는 문장 구조와 어조사를 분석해 독자가 자율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했으며, 파란색으로 표기한 훈, 실선과 점선을 활용한 핵심·보충 설명 등 세심한 편집도 눈에 띈다.
저자는 '맺음말'에서 "사전도 문해력을 키우는 책이 될 수 있다"고 말한다. 그는 "2자, 3자, 5자의 한자 말도 앞으로는 직역과 의역을 병기해 해석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국민의 문해력은 점점 떨어질 것이라고 우려하며 인터넷 사전의 문제점도 지적한다.
책 겉표지를 넘기면 원고지에 자필로 쓴 독자에게 보내는 인사말이 실려 있다. 한 장 한 장에 손때 묻은 문해 교육자의 집념과 애정이 담겼다. '사자성어큰사전'은 단순한 어휘의 집합이 아니라 한 사람의 신념이 만든 교육 철학의 보고다.
오랜 세월 동안 쌓인 교육 현장의 통찰, 책과 학생 사이에서 길어 올린 언어 철학, 그리고 한국어에 대한 깊은 애정이 이 책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 3천200쪽, 22만5천원.































댓글 많은 뉴스
경주 지진 이력에 발목?…핵융합 연구시설 전남 나주로
李대통령 "무인기·대북방송 바보짓…北 쫓아가서라도 말붙여야"
"尹, 국정원 업무보고 자리서 폭탄주에 취해 업혀 나왔다…테이블마다 '소폭'말아"
가덕도 입찰 재개하는데…대구경북신공항 운명은?
대구 찾은 김경수 "내년 지선, 정부 국정 동력 확보에 중요한 선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