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23일 발표한 11개 부처 장관 인선(人選) 가운데 안규백 국방부 장관 후보자와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 지명은 파격적이다. 5선 국회의원인 안 후보자가 임명되면, 1961년 5·16 군사정변(政變) 이후 첫 민간인 출신 국방부 장관이 된다. 김 후보자가 인사청문회를 통과하면, 민주노총 위원장 출신 철도 기관사가 고용노동 정책을 총괄하는 장관이 되는 것이다.
국방부·고용부 장관 후보자 지명은 이 대통령의 강력한 의지가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국방부 장관 문민화(文民化)'는 이 대통령의 군 관련 대표적인 공약이다. 12·3 비상계엄 당시 군 출신 국방부 장관 등이 군 후배들의 부대를 동원했던 사실을 염두에 뒀을 것이다. 민노총 출신 고용부 장관 지명은 윤석열 정부의 정책 기조를 폐기하고 친(親)노동 정책을 전면에 내세우겠다는 의미다.
파격 인사는 조직과 정책에 변혁을 일으킬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비상계엄 이후 실추된 군의 사기(士氣)를 진작시키고, 국방 개혁을 추진하는 데는 민간인 출신 국방부 장관이 적합할 수 있다. 안 후보자는 5선 내내 국회 국방위 활동을 통해 군의 정책과 행정을 잘 아는 정치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군사 작전 관련 전문성은 떨어진다는 한계를 안고 있다. 북한의 군사적 도발(挑發)이 끊이지 않는 현실에서 국민들은 민간인 국방부 장관에 대한 불안감을 갖지 않을 수 없다. 이런 국민적 우려를 불식시키려면 합참의장의 작전 지휘권을 강화하거나 작전·야전 경험이 많은 군인 출신 차관을 임명하는 보완책(補完策)이 필요하다. 국회 인사청문회는 이런 점들을 고려해 안 후보자의 자질과 역량을 면밀히 따져 봐야 한다.
고용부 장관으로 지명된 김 후보자에 대한 우려는 크다. 강훈식 대통령실 비서실장은 김 후보자에 대해 "산업 재해 축소, 노란봉투법 개정, 주 4.5일제 등 일하는 사람들의 권리를 강화하는 역할을 해 줄 것"이라고 했다. 그러나 고용부는 '친노동' 정책만 펼치는 곳이 아니다. 노동자 권리를 지켜 주면서도 고용을 창출(創出)해야 한다. 재계는 새 정부와 여당이 추진 중인 노란봉투법(노동조합법 2·3조 개정안) 등이 경영 활동 위축·노사 관계 악화를 초래할 것이라고 걱정한다. 이런 상황에 민노총 출신이 장관이 되면, 강성(強性) 노조의 목소리가 더 커질 수 있다. 정부의 고용노동 정책이 친노동·친노조로 기울면 기업의 일자리 창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김 후보자의 '불법 파업' 이력도 문제가 된다. 그는 노무현 정부 시절인 2006년 3·1절 철도노조 불법 파업을 주도해 135억원의 재산 피해를 입힌 혐의(업무방해)로 재판에 넘겨져 벌금 1천만원을 선고받았다. 김 후보자가 고용노동 정책을 총괄하는 장관에 적합한 인물인지 철저한 검증이 필요하다.





























댓글 많은 뉴스
"항명 검사 파면"…법 바꿔서라도 檢 징계한다는 민주당
한동훈 "조씨(조국), 구질구질 대타 세우고 도망가지 말고 토론 나와라"
날벼락 맞은 특검…황교안·박성재 구속영장 기각
한미 관세·안보 협상 팩트시트 최종 합의..李대통령 직접 발표
노만석 "법무차관이 3가지 선택지 제시…모두 항소포기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