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조치가 한국 소프트웨어 산업에는 위기이자 기회가 될 수 있다며 적극적인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30일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의 '위기 혹은 기회: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조치가 소프트웨어 산업에 미칠 영향과 대응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소프트웨어는 기본적으로 전자적 형태를 가지기에 원칙적으로 수입 신고나 관세 부과 대상이 아니고 트럼프 행정부의 보편관세나 상호관세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다.
CD나 USB 등 저장매체에 담긴 소프트웨어는 관세부과 대상이기는 하지만, 저장매체의 기본 관세율이 0%여서 역시 사실상 무관세로 처리되는 것이 원칙이다. 이 때문에 전자적 전송이나 매체 저장 방식의 소프트웨어는 단독 수출 시 상호 관세 등과 관계 없이 비교적 안정적인 대미 수출이 가능하다. 소프트웨어 산업이 관세 리스크를 회피할 수 있는 비교우위 산업군이 될 수도 있다는 분석이다.
다만, 자동차 부품이나 가전제품 등 기계에 탑재된 소프트웨어는 하드웨어와 함께 거래되며 소프트웨어의 가치가 제품 전체 가격에 포함되기 때문에 관세 부과 대상이 될 수 있다. 향후 상호관세나 보편관세 또는 추가 관세 적용 가능성이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또 기계 탑재뿐 아니라 매체 저장 방식이라 하더라도 소프트웨어의 라이선스료가 수출 계약과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경우에는 과세 대상으로 간주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연구소 측은 "미국 관세 정책이 공급망 재편과 하드웨어 가격 상승, 클라우드 인프라 비용 증가 등을 초래해 소프트웨어 기업의 운영 비용과 수요에 간접적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또 하드웨어에 대한 고관세로 소프트웨어 도입·개발에 필요한 인프라 투자가 위축되거나, 소프트웨어 수요기업의 IT(정보 기술) 예산 감축과 보수적 투자 기조 속에서 소프트웨어 산업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반면, 이런 불확실성이 인공지능(AI)를 활용한 자동화 수요를 확대하는 계기가 되거나, 글로벌 소프트웨어 기업들이 관세 정책 대응을 위한 AI 기반 솔루션을 개발하고 이를 플랫폼에 내재화하는 등 새로운 시장 기회가 될 수도 있다는 긍정적인 해석도 나온다.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관계자는 "자동차 부품·가전 등에 내장된 소프트웨어의 고관세 부과를 피하기 위해 한미 간 협정에서 이들 기계 탑재 소프트웨어도 디지털 무역 범주로 인정받는 협상 전략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면서 "미국과 양자 협의에서 소프트웨어가 내장되는 기계나 부품 자체를 무관세화하는 노력도 병행할 것을 요청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가수 영탁, FC바르셀로나 대구경기 시축+축하공연 확정…대구스타디움 뒤흔든다
李대통령, 8·15 광화문서 '국민 임명식' 진행…尹 부부 제외 전직 대통령들 초대
경찰, 이철우 경북도지사 관사 압수수색…"결코 좌시하지 않겠다"
한동훈, 당대표 후보 검증 나선 전한길 두고 "진극 감별사"…김문수·장동혁 향해선 "'극우 없다'면서 줄서기"
'홍준표 키즈'였던 배현진 "폭로·비방하는 노회한 영혼" 직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