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관세협상 타결 이후 한국시장의 미국산 제품 무관세 수입 가능성이 언급되면서 유통업계가 들썩이고 있다. 불확실성 해소와 물가 상승 방어 효과 등이 기대된다는 반응이 나오는 한편 이커머스(전자상거래) 업계를 중심으로는 생태계 변화에 대한 우려가 제기된다.
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한미 양국은 최근 관세협상에서 한국에 적용되는 관세를 15%로 확정하고, 국내에 들어오는 미국산 제품에 대해서는 무관세 적용하기로 합의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자신의 SNS을 통해 한국에 부과하는 상호관세를 15%로 낮춘다고 알리면서 "한국은 그 대가로 미국산 제품을 무관세로 받아들이기로 했다"고 했다. 무관세 품목 등 세부 내용은 아직 구체적으로 나오지 않았다.
유통업계는 관세협상 타결로 불확실성을 한층 덜어냈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경제 불확실성 해소에 따른 소비심리 회복과 이에 따른 낙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서다. 오프라인 매장의 경우 이미 미국산 과일과 공산품 등이 사실상 무관세 수준으로 들어오고 있어 큰 변화가 없을 것이란 시각도 있다.
온라인 유통시장에는 온도차가 있다. 미국산 제품을 무관세로 수입하면 상대적으로 미국산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부각되면서 현지 이커머스를 통한 직접구매(직구) 수요가 급증할 것이란 전망 때문이다. 이럴 경우 한국의 토종 이커머스, 유통업체가 가격 경쟁력 측면에서 밀리면서 이커머스 생태계에 변화가 불가피하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소비자 입장에선 이상기후 등의 영향으로 국내 신선식품 물가가 상승을 거듭하는 가운데 무관세 미국산 농산물 수입 확대가 물가 추가 상승을 방어하는 역할을 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미국산 비중이 큰 밀, 옥수수, 콩 등을 원재료로 사용하는 공산품의 경우 원자재 단가 하향과 함께 소비자가격도 내려갈 수 있다는 예상도 나온다.
이에 더해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이 미국산 자동차와 트럭, 농산물을 수용할 것"이라고 언급했고, 이에 대해 대통령실은 "식량 안보와 우리 농업의 민감성을 감안해 국내 쌀과 쇠고기 시장은 추가 개방하지 않는 것으로 합의했다"고 밝힌 상태다.
지역 유통가 관계자는 "관세율이나 시장 개방 자체보다 소비자 선택에 따라 산업 경쟁력이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시장을 개방하기 시작하면 그 대상이 점차 확대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반대가 나오는 것"이라며 "우리 산업 유지와 식량 안보 차원에서 시장 개방 범위에 대해서는 제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장동혁 "계엄 유발한 정청래, 내란교사범·내란주범"
김계리 "尹, 당뇨·경동맥협착·심장병…치료 안받으면 실명 위험도"
"땡전 뉴스 듣고 싶나"…野 신동욱, 7시간 반 '필리버스터'
[매일희평] 책임지지 않는 무한 리더십
한미 관세협상 타결 영향?…李 대통령 국정지지율 6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