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들어 주요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세가 다시 빨라지고 있다. 불과 한 주 만에 2조원 가까이 불어나면서 하반기 대출 총량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 7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760조8천845억원으로, 7월 말보다 1조9천111억원 늘었다. 하루 평균 2천730억원꼴로, 증가폭이 7월(1천335억원)의 두 배를 넘는다. 이 추세가 이어지면 작년 8월(+9조6천259억원) 이후 최대 증가가 예상된다.
종류별로 주택담보대출(전세자금 포함)은 604조5천498억원으로 한 주 새 5천796억원 증가했다. 신용대출은 1조693억원 늘어 전체 증가세를 이끌었다.
급증 원인으로는 ▷공모주 청약을 위한 신용대출 ▷5~6월 주택 매매 잔금 대출 실행 ▷정부 추가 규제 가능성에 따른 '선(先)대출' 심리 등이 거론된다.
실제 최근 지투지바이오, 삼양컴텍, 에스엔시스 공모에 수조원대 증거금이 몰렸다. 주담대는 규제 이전 거래 잔금 집행이 몰리면서 하순으로 갈수록 증가폭이 더 커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은행권에서는 6·27 규제의 후속 조치가 나올 수 있다는 전망으로 인해 "신용대출 등이라도 일단 먼저 받아놓고 보자"는 심리도 영향을 주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결국 대출 총량 관리 압박 속에 은행권은 규제 카드를 속속 꺼내고 있다. 하나·NH농협·신한은행은 대출모집인을 통한 9월 실행 예정 주담대·전세대출 접수를 중단했다. IBK기업은행은 실행 시점과 무관하게 모집인 접수를 전면 막았다. 일부 모집인이 "규제 전에 서둘러 대출받으라"는 식으로 소비자를 부추긴다는 지적 때문이다.
신한은행은 10월까지 수도권 외 지역에서도 조건부 전세대출을 중단하고, 전국 단위에서 1주택 이상 보유자의 전세대출도 제한한다.
은행권이 긴장하는 이유는 대출 신청·승인 건수가 여전히 많기 때문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영끌 수요가 완전히 꺾였다고 보긴 어렵다"며 "총량 목표 달성을 위해 추가 대출 규제가 더 나올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조국·정경심 이어…'위안부 횡령' 윤미향도 특사 대상 포함
'전대 소란' 논란에... "전한길, 모든 전당대회 출입 금지"
"배신자" "음모론자" 두 쪽 나버린 국민의힘 대구경북 합동연설회
'시진핑·中대사 얼굴' 현수막 찢었다가…尹 지지단체 입건
국힘, '전당대회 방해' 전한길 징계 절차 개시…"조속히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