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재편하는 서울 아파트 신규 임대차 시장 월·전세 반반 수준 접근"

남산에서 본 서울. 연합뉴스
남산에서 본 서울. 연합뉴스

지난달 서울 아파트 신규 임대차 시장에서 월세가 증가하고 전세 계약 비중이 감소하면서 비슷한 수준으로 접근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18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등록된 서울 아파트 임대차 거래 신규 계약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월세 비중은 48%이다. 이는 지난해 7월(41%) 대비 7%포인트(p) 오른 수치다.

이에 반해 같은 기간 전세 비중은 59%에서 52%로 하락했다.

지역별로 월세 비중이 전세보다 높은 곳은 동대문구(62%), 강북구(60%), 종로구(59%), 용산구(57%), 금천구(55%), 중랑구(54%), 강남·중구(53%) 등으로 조사됐다.

용산, 강남, 중구, 종로 등 서울의 주요 지역은 직장과 근접한 수요가 밀집된 고가 주거지로 전세보증금 마련 부담이나 유동성 선호 경향이 상대적으로 커 월세 거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고 직방은 진단했다.

특히 동대문구와 중랑구는 휘경자이디센시아, 리버센SK뷰롯데캐슬 등 신축 아파트를 중심으로 초기 자금 부담으로 월세 거래가 활발한 것으로 분석했다.

반면, 도봉구, 동작구, 양천구, 성북구, 노원구 등은 여전히 전세 비중이 절반 이상으로 집계됐다.

직방은 "전세 중심의 임대차 구조에서 전세·월세 간 균형에 가까운 구조로 변화하고 있다"며 "지역별 수급 상황이나 가격대, 주거 선호도에 따라 임대차 시장의 변화 양상이 다르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6·27 가계부채 관리 강화 대책 이후에는 전세금 마련이 더욱 까다로워지며 초기 자금 부담이 적은 월세 계약이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면서 "향후 전세대출 제도, 공급 여건, 금리나 금융 규제와 같은 시장 변수가 변화할 경우 또 다른 흐름이 나타날 가능성도 존재하지만, 당분간은 월세 중심의 흐름이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