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의회 기획경제위원회(위원장 이선희)는 제12대 후반기 출범(2024년 7월) 이후 현재까지 총 43건의 조례안을 처리하며 입법기구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 가운데 23건은 의원 발의(위원회 제안 포함)로 추진돼 지역 현안 해결과 미래 신산업 기반 마련에 초점을 맞추며 주목받고 있다.
기획경제위는 우선 경북도가 글로벌 백신허브로 도약할 수 있도록 '경상북도 제약·백신산업 육성 및 지원 조례'를 제정했다. 제약·백신 산업은 글로벌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시장 규모 역시 2023년 1조 6천70억 달러에서 2030년 3조 8천80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경북도는 이러한 흐름에 맞춰 국제백신산업포럼을 이달 개최하고, (재)국가첨단백신개발센터 건립(총 190억원·6월 착공)과 제조혁신공정 플랫폼 구축 등 기반 조성 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디지털헬스케어 산업 육성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위원회는 '경상북도 디지털의료제품 산업 육성 및 지원 조례'를 제정해 체계적 지원을 뒷받침했다. 국내 디지털헬스케어 시장은 2027년 54조 6천억원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경북도는 ICT융복합 어린이 재활기기 실증센터와 기능성 소재 기반 시기능 보조기기 산업 육성 사업 등을 추진하며 첨단 의료기기 산업 기반을 다져가고 있다.
에너지 전환을 위한 제도적 장치도 마련됐다. 위원회는 소비지 인근에서 생산과 소비가 동시에 이뤄지는 분산에너지 체계의 실행력을 높이기 위해 '경상북도 분산에너지 활성화 지원 조례'를 제정했다.
경북도는 올해 말까지 연구용역을 통해 '경북형 분산에너지 특화모델'을 내놓을 예정이며,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공모에도 참여해 포항이 최종 후보지로 선정됐다. 더불어 '경상북도 에너지사업육성기금 설치 및 운용 조례'를 개정해 분산에너지 관련 사업까지 지원할 수 있도록 기금 활용 범위를 넓혔다.
지역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원도 이어졌다. '경상북도 산학융합지구 활성화 지원 조례'를 제정해 산업현장에서 연구개발과 인력양성, 고용이 선순환하는 체계를 구축하고, 기업·대학·연구기관이 유기적으로 협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한편, 인공지능 기술 확산에 따른 부작용에 대응하기 위해 '경상북도 인공지능 윤리기반 조성에 관한 조례'도 제정됐다. 이는 윤리헌장 제정, 전문위원회 운영, 기본계획 수립 등을 통해 도민 권익을 보호하고 AI 기술 발전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로 평가된다.
이선희 기획경제위원장은 "지역의 미래 성장동력 확보와 신산업 육성을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입법 활동을 통해 지역 현안 해결과 민생 안정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국힘 '이진숙 면직검토'에 "그 논리면 임은정은 파면"
'尹·김건희 특혜'라며 막은 '단독 접견'…조국은 29회
최교진 "성적 떨어졌다고 우는 여학생 뺨 때린 적 있다"
무도회장 연상케 한 與 '한복행렬'…'상복'으로 맞선 野
'尹 속옷 버티기' CCTV 결국 봤다…尹측 "공개 망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