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 이후 80년간 대한민국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1953년 67달러에서 지난해 약 3만6천달러로 537배 급증하며 세계 10위권 경제대국으로 도약했다.
통계청 국가통계연구원은 27일 '광복 80년, 통계로 본 한국 사회의 변화상'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경제, 인구, 가구, 건강, 교육, 노동, 소득, 주거·교통, 여가, 환경, 사회통합 등 각 영역별 주요 변화상과 시대별 특징을 통계로 살펴본 결과다.
◆경제성장 5만3천배 '눈부신 도약'
통계청에 따르면 국내총생산(GDP)은 1953년 477억원에서 지난해 약 2천557조원으로 약 5만3천배 성장했다. 1970~80년대 정부 주도 경제개발 계획과 중화학공업 육성으로 연평균 10% 내외의 고도성장을 달성했고, 1997년 외환위기와 2008년 금융위기 등을 극복하며 수출 주도의 정보통신 기술(IT)·자동차·반도체 중심 첨단산업 구조를 확립했다.
산업구조도 크게 변화했다. 3차 산업의 부가가치가 1천조원을 넘어서며 압도적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2차 산업 비중은 1979년 30%를 돌파한 후 1991년 정점(37.0%)을 찍었고, 3차 산업은 1996년 GDP의 절반 이상을 넘어선 후 지속 확대되고 있다.
인구는 1949년 2천19만명에서 지난해 5천181만명으로 약 2.5배 증가했다. 하지만 합계출산율은 지난해 0.75명으로 급락했고, 고령인구는 19.5%로 증가해 초저출산·초고령화 상황에 직면했다.
1970년대 농촌에서 도시로의 대규모 인구 이동으로 수도권 인구 비중이 1955년 18.3%에서 2024년 50.8%로 증가했다. 또 1인 가구가 2024년 36.1%로 늘어나는 등 인구·가구 구조의 근본적 변화를 겪고 있다.
◆교육·의료 선진국 수준 달성
광복 직후 문맹률 78%에서 1970년 비문해율 7.0%까지 낮아졌고, 2023년 현재 고등교육 이수율 54.5%로 세계적 수준의 인적자본을 축적했다.
의료 분야에서도 눈에 띄는 발전을 보였다. 기대수명은 1970년 62.3년에서 2023년 83.5세로 21.2년 늘어났다. 1970년대 의료보험법 제정으로 보편적 의료보장 체계가 시작됐고, 경제발전과 의료서비스 확대로 전반적인 삶의 질이 향상됐다.
고용률은 1963년 52.0%에서 2024년 62.7%로 증가했으며, 주로 여성 고용률 상승에 기인한다. 근로시간은 1970년 월평균 225.3시간에서 지난해 164.1시간으로 단축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수준에 근접했다.
소득 분배에서는 2011년 이후 시장소득 빈곤율이 상승하는 추세를 보인 반면, 처분가능소득 빈곤율은 지속 하락했다. 이는 조세와 공적 이전소득의 재분배 효과로 분석된다.
주택수는 2010년 1천774만호에서 2023년 2천262만호로 약 442만호 증가했다. 거주주택 유형은 2008년 아파트가 가장 주된 유형(43.9%)으로 자리잡은 후 아파트 비중이 지속 증가하고 있다.
자동차등록대수는 2024년 기준 2천630만대 수준에 달했으나, 교통사고 발생건수는 2000년 전후까지 증가세를 보이다 이후 감소하고 있다.
◆"지속가능한 발전 방안 모색해야"
통계청은 "광복 80년, 한국은 전쟁의 폐허를 딛고 세계 10위권 경제대국으로 도약했지만, 이제는 저출산·고령화·저성장이라는 구조적 도전에 직면해 있다"며 "기후 위기와 인공지능(AI) 디지털 전환이 급속도로 확산되는 복합적 위기와 도전 앞에서 우리 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 방안을 함께 모색해야 한다"고 밝혔다.
통계청 국가통계연구원은 이 같은 내용을 주제로 '제5회 한국의 사회동향 포럼'을 27일 대전 통계센터에서 개최한다. 포럼은 온-오프라인으로 동시 진행돼 누구나 실시간으로 참여할 수 있다.
안형준 통계청장은 "이번 포럼을 통해 광복 이후 80년 동안 우리 사회가 이뤄온 각 분야의 성과를 객관적으로 살펴보고, 나아가 우리 공동체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삶의 질 향상 방안을 함께 논의하는 장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국민의힘 새 대표에 장동혁…"이재명 정권 끌어내리겠다"
'박정희 동상' 소송 본격화…시민단체 "대구시, 판결 전 자진 철거하라"
송언석 "'文 혼밥외교' 뛰어넘는 홀대…한미정상회담, 역대급 참사"
장동혁 "尹면회 약속 지킬 것"…"당 분열 몰고 가는분들엔 결단 필요"
[보수 재건의 길(上)] "강한 야당이 보수 살리고, 대한민국도 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