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개발사 오픈AI가 세계적으로 기업용 인공지능(AI) 서비스 시장 공략을 강화하고 있다.
31일(현지시간) 미 경제 매체 CNBC는 오픈AI 최고운영책임자(COO) 브래드 라이트캡의 역할이 사내에서 점점 커지고 있다면서 그가 맡은 주요 임무인 기업용 시장 공략 확대에 대해 집중적으로 조명했다. 오픈AI는 지난 주에 현지 기업 고객들의 수요에 대응해 브라질, 호주, 인도에 새로 사무실을 열며 이 분야에서 큰 걸음을 내디뎠다고 CNBC는 전했다.
기업용 시장에 진출하려면 전문 인력이 대거 필요하다. 이에 지난 18개월간 라이트캡 COO는 담당 팀을 약 50명에서 700명 이상으로 늘린 것으로 전해졌다. 여기에는 영업 담당자와 고객을 직접 지원하는 개발자 등이 포함된다.
라이트캡 COO는 오픈AI가 2023년 GPT-4와 챗GPT 엔터프라이즈를 출시한 뒤 기업들의 수요가 몰려드는 것을 체감했다고 최근 언론 간담회에서 밝혔다. 미국의 주요 기업들 중에서는 제약사 모더나와 차량 호출 플랫폼 우버, 투자은행 모건스탠리 등이 오픈AI의 AI 모델을 자사의 데이터 분석, 서비스 확대 등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오픈AI의 전략은 전통적인 방식처럼 영업 사원들에 의존하지 않고, 엔지니어들의 역할에 무게를 두면서 해당 기업 파트너와 직접 협력해 AI 모델이 실제 비즈니스 문제를 해결하도록 보장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다만 오픈AI의 기업용 시장 진출 확대는 이 회사의 최대 투자자인 마이크로소프트(MS)와 긴장 관계를 높이는 요인이 되고 있다. MS는 그동안 자사의 클라우드 서비스에 오픈AI의 첨단 AI 모델을 결합해 제공하면서 기업들의 클라우드 수요를 늘려 왔기 때문이다.
오픈AI가 기업용 AI 모델 직접 판매를 확대할수록 양사 간의 충돌은 더 심화될 가능성이 높다.
라이트캡 COO는 "MS와의 이런 경쟁 구도가 특별한 것이 아니다. 기회의 공간이 워낙 방대해서 어떤 면에서는 다른 사람들과 부딪히지 않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국힘 '이진숙 면직검토'에 "그 논리면 임은정은 파면"
국민의힘 "728조 내년 예산, 포퓰리즘 가득한 빚더미"
트럼프 빼준 의자에 앉지 않은 李대통령…"경상도 예의"
과연 얻은 독립이고, 도둑처럼 온 광복인가
홍준표, 유튜브 '홍카콜라' 재개…"세상 사는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