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기존의 화성-18형과 화성-19형 성능을 훨씬 뛰어넘는 대출력 고체연료 엔진인 다탄두 ICBM 화성-20형을 개발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탄두 ICBM은 탄두부에 여러 개의 탄두를 장착할 수 있어 단탄두에 비해 요격하기도 어렵다. 사거리 1만5천㎞ 이상인 이 ICBM이 개발되면 미국 본토 전역을 타격할 수 있다.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일 중국 전승절 80주년 열병식 참석차 베이징으로 출발하기 직전에 미사일 총국 산하 화학재료종합연구원 연구소를 방문해 개발중인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탄소섬유 복합재료 생산 공정과 대출력 미사일 발동기(엔진) 생산 실태를 파악했다고 2일 보도했다.
통신은 "탄소섬유 복합재료를 리용한 신형 고체발동기의 최대 추진력은 1,960kN(킬로뉴턴)으로서 대륙간탄도미싸일 '화성포-19'형 계렬들과 다음세대 대륙간탄도미싸일 '화성포-20'형에 리용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소는 탄소섬유 복합재료를 이용한 대출력 고체연료 엔진을 제작하고 지난 2년간 8차례에 걸치는 지상분출 시험을 통해 엔진의 동작 믿음성과 정확성을 검증한 것으로 전해진다.
김 위원장은 "이는 우리 전략 미싸일 무력의 강화와 능력 확대에서 커다란 변혁을 예고하는 의미 있는 성과"라고 치하하며 "전략무력 강화의 지름길을 열어놓은 해당 연구소의 과학자들에게 높은 급의 국가표창을 수여"하라고 지시했다.
북한의 ICBM 시험발사는 작년 10월 31일 '화성-19형'이 마지막이었다. 당시 북한은 이 ICBM이 "최종완결판"이라고 했는데, 1년도 안 돼 이를 뛰어넘는 성능의 '화성-20형'을 개발하고 있음을 공개한 것이다.
장영근 한국국가전략연구원 미사일센터장은 "북한이 2022년 12월에 발표한 고체연료 엔진 첫 지상분출시험 때 추력은 140tf(톤포스)였고, 이것인 화성-18형과 화성-19형에 사용됐을 것으로 추정된다"며 "오늘 발표한 1천960kN은 약 200tf로 기존 고체 연료 엔진보다 60tf 정도 추력이 강해졌다"고 분석했다.
기존의 화성-18형과 화성-19형도 사거리 1만5천㎞ 이상으로 미국 본토 전역을 타격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됐는데, 추력을 더 키워 화성-20형을 다탄두 ICBM으로 개발하기 위함으로 풀이된다.
한편 김 위원장은 지난달 31일에도 새로 조업한 중요 군수기업소를 방문해 미사일 자동화 생산공정을 점검했으며, 그에 앞서 지난달 23일에는 신형 반항공(지대공) 미사일 2종의 전투 성능 검증을 위한 시험 사격을 참관했다.
댓글 많은 뉴스
'尹·김건희 특혜'라며 막은 '단독 접견'…조국은 29회
최교진 "성적 떨어졌다고 우는 여학생 뺨 때린 적 있다"
무도회장 연상케 한 與 '한복행렬'…'상복'으로 맞선 野
'尹 속옷 버티기' CCTV 결국 봤다…尹측 "공개 망신"
[기고-정인열] 과연 얻은 독립이고, 도둑처럼 온 광복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