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을 앞두고 사과와 배 등 과일류 출하량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면서 가격 안정세가 기대되는 가운데 정부가 성수품 전반의 물가 관리를 강화하며 소비자 부담 완화에 나섰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는 7일 "올해 추석 2주 전 사과 출하량이 5만4천200톤(t)으로 지난해보다 6.5%, 평년보다 31.2%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따라 추석 성수기(9월 22일~10월 5일) 홍로 상품 도매가격은 지난해 5만5천700원보다 다소 낮은 5만3천원 안팎이 될 것으로 예상됐다. 배 출하량도 4만2천500t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2%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며, 신고배 7.5㎏ 도매가격은 전년 3만9천200원에서 약 5천원 낮은 3만4천원 수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출하량 증가 배경에는 늦은 추석이 있다. 지난해보다 20일 가까이 늦은 10월 6일이 명절로 잡히면서 생육 기간이 길어졌고, 여름철 고온으로 과실 성장이 늦어져 추석 성수기에 집중 출하가 가능해졌다. 이에 따라 사과는 홍로 외에도 아리수, 양광, 시나노골드 등 다양한 품종이 시장에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배도 조생종 위주에서 벗어나 중생종 신고까지 소비자 선택지가 넓어질 전망이다. 다만 과실 크기가 전반적으로 작을 수 있어 정부는 중간 크기 이하의 선물세트 공급을 확대하기로 했다.
정부는 과일뿐 아니라 주요 농축산물과 가공식품, 외식 물가까지 전방위 관리에 나섰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5일 서울 서초구 양재동 aT센터에서 산림청, 농협, 대형마트 등 관계 기관·업체가 참석한 '농식품 수급 상황 점검 회의'를 열고 성수품 수급 안정 대책을 논의했다. 이는 이재명 대통령이 추석 물가 안정 대책을 촘촘히 마련하라고 지시한 데 따른 후속 조치다.
농식품부는 과일류의 공급 확대와 함께, 배추·무 등 채소류의 변동성을 고려해 병해충 방제와 물 관리 등 생육 관리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축산물은 수입산 가격 상승 여파로 국내산 수요가 늘며 강세를 보이고 있으나, 공급 물량 확대와 할인 행사로 가격 안정을 도모한다. 쌀값 안정도 주요 과제다. 최근 20㎏ 소매가격이 6만원을 넘자 농식품부는 정부 양곡 3만t을 방출해 산지유통업체에 공급했고, 대형 유통업체와 협력해 할인 판매를 이어가고 있다.
송 장관은 "추석을 온 국민이 풍성하게 보낼 수 있도록 가용 자원을 총동원하겠다"며 "이번 대책이 물가 안정은 물론 소비 활성화를 통한 내수 경기 진작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장동혁 "한동훈과 같이 못간다…해당 행위엔 강력 조치"
고개 숙인 조국혁신당 "성비위 재발 막겠다…피해회복 끝까지 노력"
우원식 "김정은과 악수한 것 자체가 성과"…방중일정 자평
박지원 "김정은, 두번 불러도 안 보더라…우원식과 악수는 큰 의미"
차진아 교수 작심 인터뷰 "수준 낮은 공청회…秋, 공직 자격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