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와 안동시, 질병관리청은 8일부터 9일까지 안동국제컨벤션센터에서 '2025 국제백신산업포럼'을 개최하고 세계적 백신 허브로 도약하는 기반을 다졌다.
이번 포럼에는 양금희 경상북도 경제부지사, 김형동 국회의원, 권기창 안동시장을 비롯해 SK바이오사이언스, 사노피, 써모피셔 사이언티픽 등 국내외 바이오·백신 기업과 연구기관이 참석해 글로벌 백신산업의 전망과 최신 기술 동향을 공유하며 열띤 논의를 폈다.
'국제백신산업포럼'은 지난 2016년 처음 시작된 이후 코로나19로 인한 일시적 중단을 제외하고 올해로 6회째를 맞는 국제행사다.
올해 포럼의 주제는 '미래 감염병 대응을 위한 백신 전략과 혁신 기술'이다.
8일 개회식에 이어 '전염병 대응 혁신 연합'(CEPI) 소속 뉴턴 와호메(Newton Wahome)박사의 '팬데믹 대비 엔진: 질병 X 대응을 위한 통합 AI/ML 플랫폼' 주제 강연이 마련됐다.
포럼에서는 ▷글로벌 백신 개발 동향과 정책, ▷국내외 혁신 기술, ▷국내 백신 개발 동향 및 정책, ▷인공지능(AI) 구조 기반 백신 개발, ▷신변종 감염병 제어를 위한 R&D 대응 전략 등 5개 주제로 각 분야별 핵심이슈와 최신 연구 성과가 발표된다.
행사기간에는 백신산업 홍보부스와 기술 비즈니스 파트너링 프로그램이 운영돼 산·학·연·관이 참여하는 실질적인 네트워킹과 협력의 장이 마련될 예정이다.
또한 SK바이오사이언스, 써모 피셔 사이언티픽(Thermo Fisher Scientific), 사노피(Sanofi) 등 글로벌 백신·바이오 기업과 국제백신연구소, 파스퇴르연구소 등 세계적인 연구기관이 참여해 백신산업 전반에 걸친 폭넓은 논의가 펼쳐질 전망이다.
한편, 경상북도는 안동 바이오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백신 상용화센터, 국제백신연구소 안동분원, 국가첨단백신개발센터, 동물세포실증지원센터, SK바이오사이언스 등 전주기 백신 생태계 구축과 연구·개발부터 임상·생산·실증·인력 양성까지 아우르는 클러스터를 형성해 백신산업의 핵심 거점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최근에는 안동이 세계보건기구(WHO)가 추진하는 '글로벌 바이오 캠퍼스'의 핵심 거점으로 선정된 후, 국제 백신 생산 역량 강화와 전문인력 양성을 지원하기 위한 기반 시설로 백신산업전문인력양성센터를 준공, 올해부터 본격적인 인력양성 활동을 펼치고 있다.
백신산업전문인력 양성센터는 국내 기업과 학생을 대상으로 한 위탁 실습 교육뿐만 아니라, 국제백신연구소(IVI)와의 협력을 통한 글로벌 백신 생산 기술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준비하면서 해외 백신 제조 현장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노력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경상북도는 이러한 역량을 바탕으로, 포럼에 참가한 국내외 기업, 연구기관 그리고 학계 관계들과의 협력과 기술 교류를 더욱 강화해, 세계 백신 허브로 도약해 나갈 계획이다.
양금희 경상북도 경제부지사는 "이번 포럼에서 논의된 혁신적인 백신 전략과 기술들이 국내를 넘어 국제사회와의 협력을 통해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권기창 안동시장은 "백신산업 전주기 지원체계를 더욱 고도화하고 글로벌 네트워크와의 연계를 강화해, 안동이 글로벌 바이오·백신 산업 거점도시로 도약하는 데 중심적 역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장동혁 "한동훈과 같이 못간다…해당 행위엔 강력 조치"
차진아 교수 작심 인터뷰 "수준 낮은 공청회…秋, 공직 자격 없어"
'700조 선물 외교'에도 뒤통수 친 미국, 혈맹 맞나
국민의힘, 美 '韓기업 이민단속'에 "700조 투자하고 뒤통수"
트럼프 "한국 배터리·조선 인력 불러들여 미국인 훈련시켜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