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노무현 사위' 곽상언, 김어준 겨냥?…"유튜브가 정치권력 흔들면 사회적 해악"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곽상언 더불어민주당 의원. 연합뉴스
곽상언 더불어민주당 의원. 연합뉴스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사위인 곽상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또 유튜브 권력을 겨냥해 "국가 정책 결정에까지 개입하고 좌지우지한다"고 비판했다.

곽상언 의원은 16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유튜브 권력이 정치 권력을 휘두르고 있다', '특정인의 생각을 따르는 것이 민주적 결정이라고 한다' 저는 국민들께 이렇게 말씀드렸다. 제가 제가 오래 전부터 가졌던 우리 정치 현실에 대한 문제의식"이라고 밝혔다.

곽 의원은 "언론보도와 일부 유튜브를 살펴봤다. 많은 국민들이 자신의 경험과 생각에 터잡아 여러 의견을 더하고 있다"며 "그 반응의 크기와 강렬함을 보면 유튜브 정치 권력이 이미 우리 정치를 휘두르며 우리 정치의 현실 깊숙이 들어와 있는 현실을 다시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본래 유튜브 방송 또는 유튜브 언론은 제도권 언론의 대안으로 등장했다. 오락 기능은 물론 순기능이 충분했다"면서 "저도 주제에 따라 내용에 따라 응원했다. 하지만 지금은 전혀 그렇지 않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원래의 순기능은 이미 소멸할 정도로 정치 유튜브의 역기능은 원래의 순기능을 이미 압도한다"며 "몇몇 정치 유튜브는 단순히 정치적 의견 개진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다. 그것을 넘어 정치적 의제를 자의적으로 설정한다"고 지적했다.

곽 의원은 "'민주', '보수'를 표방하면서 정당 내부의 선거, 후보자 공천, 나아가 국가 정책 결정에까지 개입하고 좌지우지한다"면서 "정치적 의견을 형성하고 정치권에 단순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또한 "견제 받지 않고 비난 받지 않는 제3의 언론권력이 돼 비공식적 정치 권력을 휘두르는 육식 공룡으로 행세하고 있다"고 문제의식을 드러냈다.

그러면서 "언론이 그냥 언론이 아니라 '언론권력'이 돼 정치 권력을 흔들게 되면, 사회적·국가적 해악이 되는 것처럼 유튜브도 그냥 유튜브로 기능하는 것이 아니라 '유튜브 권력'이 돼 정치 권력을 흔들게 되면, 그 때부터 사회적·국가적 해악이 되는 것"이라며 "계속 말씀 드리겠다"고 덧붙였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