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멸종위기종인 검독수리의 번식 둥지가 국내에서 77년 만에 확인됐다.
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는 작년 7월 한라산 북쪽에서 어린 검독수리가 구조된 사건과 주민 목격을 계기로 최근까지 조사를 벌여 한라산 북쪽 절벽에서 지름 약 2m, 높이 약 1.5m의 검독수리 둥지를 발견했다고 17일 밝혔다.
생태원 연구진은 지난 5월 둥지에 검독수리 부부와 새끼 한 마리가 있는 모습을 망원렌즈를 활용해 약 200m 떨어진 지점에서 포착했다. 검독수리 가족은 지난 7월 둥지를 옮긴 것으로 확인됐다.
검독수리는 넓은 구역에 여러 둥지를 놓고 활용하지만 번식지는 잘 바꾸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앞으로도 이번에 발견된 둥지에서 번식할 것으로 생태원은 전망했다.
검독수리가 번식한 둥지와 새끼가 함께 발견되기는 1948년 4월 미군 장교가 경기 남양주시 예봉산과 천마산에서 확인한 뒤 77년 만에 처음이다.
다만 둥지 외에 검독수리가 관찰된 적은 이전에도 있었다. 이번에 관찰된 검독수리 성체는 6세 이상일 것으로 추정됐다. 새끼의 성별은 확인되지 않았다.
둥지는 마른 나뭇가지로 만들어졌으며 안쪽에는 마른 풀잎과 푸른 솔가지가 깔린 것으로 나타났다.
검독수리는 날개를 완전히 폈을 때 길이가 2m가 넘는 대형 맹금류다.
세계적으로는 유럽과 아시아, 북아메리카 등 북반구에 서식하며 국내에서는 겨울철 산과 습지 주변에서 드물게 관찰돼왔다.
사슴·토끼·고라니 등 포유류와 오리·꿩 등 조류를 사냥해 먹으며, 먹이가 없을 때는 사체도 먹는다. 1∼2월에 1∼4개 알을 낳아 44∼45일간 품으며 알에서 부화한 새끼를 키우는 기간은 70∼102일 정도다.
검독수리는 1973년 천연기념물, 2012년 1급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지정됐다.
이창석 국립생태원장은 "검독수리의 번식 둥지 발견은 학술적으로나 역사적으로 가치가 크다"면서 "제주도 등 관계기관과 협업해 검독수리 서식지 보호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국민의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장외투쟁 첫 시작하나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문형배 "선출권력 우위? 헌법 읽어보라…사법부 권한 존중해야"
장동혁 "尹 면회 신청했지만…구치소, 납득 못 할 이유로 불허"
이준석 "강유정 대변인, 진실 지우려 기록 조작…해임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