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경제학자들이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후임으로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를 가장 선호하지만, 실제로는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이 유력하다고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28일(현지시간) 시카고대 부스 비즈니스스쿨과 공동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도했다. 응답에 참여한 44명 가운데 82%가 차기 연준 의장으로 월러 이사를 선호한다고 답했지만, 실제로 그가 의장직에 오를 것으로 예상한 응답은 20%에 그쳤다.
경제학자들이 꼽은 가장 가능성 높은 후임자는 해싯 위원장이었다. 응답자의 39%가 해싯을 차기 의장으로 예상했고, 이어 월러 이사와 스티븐 마이런 신임 연준 이사가 각각 20%를 차지했다. 다만 마이런 이사를 차기 의장으로 '선호한다'고 답한 경제학자는 한 명도 없었다.
마이런 이사는 트럼프 대통령이 조기 사임한 아드리아나 쿠글러 전 연준 이사의 후임으로 지명한 인물이다. 그는 내년 1월 31일까지 백악관 국가경제자문위원회(CEA) 위원장직을 휴직하겠다고 밝혀, 트럼프 대통령이 연준 인사를 통해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것 아니냐는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FT는 "경제학자들이 선호하는 후보와 실제로 지목되는 후보 간 괴리는 트럼프 대통령의 강한 압박을 반영한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은 연준이 기준금리를 1% 이하로 내려야 한다며 공개적으로 파월 의장을 "멍청이", "바보"라고 비난해왔다.
이런 압박 속에서 연준은 최근 고용 둔화가 넉 달째 이어지자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내려 4.0~4.25%로 조정했다. 지난해 12월 이후 9개월 만의 금리 인하다. 이 과정에서 마이런 이사는 0.5%포인트 인하를 주장하며 유일하게 반대 의견을 냈다. 월러 이사는 직전 7월 회의에서는 인하 반대 쪽에 섰지만 이번에는 0.25% 인하에는 동의했다.
존스홉킨스대 로버트 바베라 교수는 "월러는 연준 의장직을 위해 아부하는 인물이 아니라 진짜 중앙은행가처럼 보인다"며 "바로 그 점 때문에 의장에 오르기 어려운 것"이라고 평가했다.
한편 베팅 시장에서는 월러 이사가 근소한 차이로 해싯 위원장을 앞서 가장 유력한 후보로 꼽히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中 관광객 '무비자 입국' 문 열렸다…2천700여 명 몰린 인천항 '북적'
李 대통령 지지율 심상치 않다…52%로 3주 연속 하락
78년만에 검찰청 사라진다…정부조직법 與주도 본회의 통과
尹 모습에 눈물 쏟아낸 전한길…"목숨걸고 지키겠다"
통역 중 퇴장한 李…이준석 "직언할 인사없고 심기만 살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