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N수생, 고소득층만의 도전? 교육 불평등의 그림자"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30일 앞으로 다가온 14일 인천 강화군 보문사 마애석불 좌상 앞에서 학부모들이 108배를 하며 기도하고 있다. 연합뉴스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30일 앞으로 다가온 14일 인천 강화군 보문사 마애석불 좌상 앞에서 학부모들이 108배를 하며 기도하고 있다. 연합뉴스

N수생의 증가와 그에 따른 사회적 격차가 또렷이 드러나고 있다. 대학 입학을 재도전하는 학생들, 이른바 N수생 문제는 단순한 교육 문제가 아닌 경제문제로 확산되고 있다. 최근 조사에 따르면 N수생 중 부모의 월소득이 800만원 이상인 경우가 가장 많았다는 결과가 나왔다. 가정의 경제력이 자녀의 교육 기회를 결정짓는 구조적 문제임이 여실히 드러난 것이다.

한 교육 전문가에 따르면 N수생의 상당수가 고소득층 가정 출신이며, 이들 대부분은 부모의 재정적 지원에 의존한다고 전했다. 이러한 구조는 곧 교육의 공정성을 훼손하며 사회적 이동성의 차이를 더욱 벌어지게 한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이러한 현실은 N수생 부모들의 경제적 부담으로 이어진다. 사교육비 대부분이 부모의 지갑에서 나오는 상황에서, 학생의 성취가 부모의 경제력에 좌우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응답자의 74.6%는 보호자가 90% 이상의 사교육비를 부담했다고 밝혀, 경제력이 곧 학생의 교육 기회로 이어지는 현상을 보여준다.

높은 투자의 대가에도 불구하고 희망 대학에 진학하지 못한 학생이 응답자 중 68.1%에 이르렀으며, 원하는 전공 선택에 실패한 경우도 47.9%로 나타났다. 이는 사교육 투자와 입시 성과 간의 간극을 여실히 드러낸다. 이들 가운데 상당수는 다시 N수를 준비하며 또 다른 전투를 준비하는 실정이다.

또한, 상위권 학과로 인식되는 의대와 약대 신입생 중 N수생 비율은 각각 49.1%, 54.3%로 조사되었다. 이는 상위권 학과 입시에서 N수가 이미 일반화된 현상임을 나타낸다. 한 교육 전문가는 "N수생의 존재는 경제력에 따른 기회 불평등을 보여주는 바로미터"라며,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아울러, 사교육 의존도를 낮추고 공교육 내 재도전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정책 마련의 필요성도 강조되었다. 사교육 시장의 양극화를 줄이고, 공공 교육 콘텐츠의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특히 N수생의 강박감과 부모의 재정적 부담이 심리적 문제로 번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경제적 지원에 대한 부담이 학생들에게는 잠재적 실패에 대한 불안감으로 이어지며, 이는 결국 학업 스트레스와 심리적 불안정성을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