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APEC CEO 서밋 연사 젠슨 황 "한국은 AI 주권 국가될 것"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최빈국에서 산업강국으로 도약한 한국에 존경 표해
로보틱스·제조 '피지컬 AI' 실현 파트너로 낙점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31일 경북 경주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최고경영자(CEO) 서밋에서 특별세션 기조연설하고 있다. 연합뉴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31일 경북 경주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최고경영자(CEO) 서밋에서 특별세션 기조연설하고 있다. 연합뉴스

"엔비디아의 여정을 한국과 함께할 수 있어 영광입니다."

31일 경주 예술의전당 화랑홀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CEO 서밋 무대에 선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한국에 경의를 표하며 특별한 인연을 강조했다. 그는 한국전쟁 직후 세계 최빈국에서 산업 강국으로 우뚝 서게 된 한국을 소개하는 영상을 먼저 상영했고, 참석자들의 환호를 받으며 연단에 섰다. 전날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과의 '치맥 회동'을 언급하며 운을 뗐다.

황 CEO는 인공지능(AI) 기술 발전이 가져온 변화를 조명했다. 그는 "AI는 가장 중요한 도구이자 세상을 잇는 플랫폼"이라며 "AI는 단순히 암기한 답변을 제공하는 것이 아닌 사고를 거쳐 양질의 답변을 내놓는다. 향상된 답을 통해 학습하고 발전을 거듭한다. 막대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이를 감당할 수 있는 인프라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AI 인프라 투자는 수익을 창출하고 다시 재투자로 이어지는 '선순환 생태계'를 조성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과정에서 황 CEO는 한국에 매우 특별한 기회가 될 수 있다 예측했다.

그는 "한국은 소프트웨어와 제조 역량, AI를 포함한 첨단산업 기반을 갖추고 있어 잠재력이 더 높다"고 평가했다. 국내 주요 기업과의 연계를 강화해 '피지컬 AI'를 실현하겠다는 의지도 피력했다.

황 CEO는 "한국은 소프트웨어 기업도 대거 포진해 있고 로봇 공학 분야에서도 높은 수준에 이미 도달했다. 제조 분야에서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그는 "네이버는 엔비디아의 초창기 파트너였고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거대언어모델(LLM)을 보유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자율주행 분야에서 협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디지털트윈 공장 내 로봇이 생산을 맡는 환경을 만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그래픽처리장치(GPU)를 대거 공급해 한국이 AI 생태계를 갖추는 데 기여하겠다. 지금은 AI 혁신 한 가운데 선 가장 중요한 시기다. 이제 한국은 AI 주권국가, AI 프론티어(개척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