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억원 금융위원회 위원장이 '이자장사'에 안주한다는 비판을 받는 금융권을 향해 "기존의 영업관행과 마인드를 획기적으로 뜯어고쳐야 한다"고 주문했다.
150조원 규모로 출범하는 '국민성장펀드'를 계기로 은행권이 생산적 금융으로 대전환에 나서야 한다는 최후통첩으로 풀이된다.
이 위원장은 17일 한국산업은행 별관에서 열린 '국민성장펀드 사무국 현판식 및 금융기관 간 업무협약식'에 참석했다.
이 자리에는 박상진 한국산업은행 회장을 비롯해 양종희 KB금융, 진옥동 신한금융, 함영주 하나금융, 임종룡 우리금융, 이찬우 농협금융 등 5대 금융지주 회장단도 함께 했다.
이 위원장은 모두발언을 통해 "우리 금융권이 여전히 이자장사를 통해 막대한 이익을 올리고, 산업 이해에 근거한 전략적인 재원배분에 충분한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평가가 많다"고 알렸다.
그러면서 "글로벌 패권경쟁에 대응해 정부·금융권·산업계의 역량을 총동원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국민성장펀드는 그 규모 뿐만 아니라 지원방식과 협업체계도 그간의 산업금융이 가보지 않은 새로운 길"이라며 "기존의 영업관행과 마인드는 획기적으로 '뜯어고쳐야' 한다"고 말했다.
또 산업은행과 5대 금융지주는 국민성장펀드의 성공적인 조성 및 집행을 위한 업무협약(MOU)도 체결했다. 총 150조원 규모로 첨단전략산업 생태계 전반을 지원하는 이 펀드의 성공을 위해 금융권이 '하나의 실행축'을 형성하기로 한 것이다.
이번 협약으로 산은과 5대 금융지주는 펀드 사업에 대한 적극적인 금융지원은 물론, 핵심 분야에서 적극 협력할 예정이다.
우선 각 은행은 국민성장펀드 사무국에 실무인력을 상호 파견한다. 또 첨단전략산업 지원을 위해 검토 중인 사업 정보도 교류하기로 했다.
박상진 산업은행 회장은 "오늘 이 자리는 정책금융과 시장의 전문성이 결합된 생산적 금융 생태계 구축의 시작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위는 금융권의 적극적인 투자를 독려하기 위한 '당근'도 제시했다. 이 위원장은 "정부도 출자부담 개선방안, 발생할 수 있는 투자실패에 대한 면책지원 등을 통해 적극적인 투자의사결정을 돕겠다"고 약속했다.
현판식을 갖고 공식 출범한 국민성장펀드 사무국은 펀드의 사실상 '컨트롤 타워' 역할을 맡는다. 사무국은 개별 프로젝트 접수 및 예비검토부터 산은 및 금융기관과의 공동지원 주선, 자금집행, 사후관리 실무까지 수행한다.
한편, 금융위는 현재 사업부처 및 기업들과 투자 수요를 지속적으로 모집 중이며, 오는 12월 10일 한국산업은행법 개정에 따른 펀드 출범 시기에 맞춰 최대한 신속하게 투자가 집행되도록 할 계획이다.





























댓글 많은 뉴스
대장동 일당 변호인조차 "항소 포기 상상도 못해…김만배 가장 이익"
"항소포기로 7천800억원 날아가"…국힘, 국정조사 촉구
[기고-김성열] 대구시장에 출마하려면 답하라
대법 "아파트 주차장 '도로' 아냐…음주운전해도 면허취소 못해"
미국에 기운 관세협상 무게추…한국이 얻어낸 건 '핵잠'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