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생제는 어디에 쓰는 약일까요?"
"항생제는 감기 치료에 도움이 될까요?"
질병관리청이 던진 이 두가지 질문에 국민 10명 중 3명만이 제대로 알고 있었다. 이에 보건당국과 전문가들은 항생제의 올바른 사용에 대한 국민 인식 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질병관리청과 문화체육관광부는 20일 여론조사기관 '리서치랩'에 의뢰해 올해 3월 27일∼5월 7일 전국 만 14세 이상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항생제 인식 관련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항생제는 어디에 쓰는 약이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세균 감염 질환 및 바이러스 감염 질환'이라는 응답이 58.1%로 과반수를 차지했고, '바이러스 감염 질환'이라는 응답도 10.2%였다. '세균 감염 질환'이라고 올바르게 응답한 이들은 22.6%에 불과했다.
항생제가 감기 치료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72.0%가 '그렇다'(매우 그렇다 6.0%·그렇다 66.0%)라고 답했다.
신나리 질병관리청 항생제내성관리과장은 "감기는 바이러스에 의한 질환이므로 항생제는 감기 치료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다만, 감기가 오래 이어지면서 2차적인 세균 감염으로 인한 증상이 나타날 때만 항생제를 쓰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항생제 복용법을 제대로 알지 못하는 국민들도 많았다. 항생제는 내성 문제 때문에 증상이 나아져도 처방된 복용량을 모두 복용해야 한다. 하지만 항생제 복용 중 증상이 나아져 복용을 중단한 적이 있다는 응답자는 63.4%에 달했다.
항생제를 의사 처방 없이 복용한 적이 있다는 응답자는 16.0%였고, 의사에게 항생제를 처방해달라고 요구한 적이 있다는 응답자 전체의 25.1%였는데 특히 남성과 20∼39세 연령층, 만 3∼6세 자녀를 둔 부모 계층에서 응답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와 별도로 의사 1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응답자의 89.1%는 항생제 내성 문제가 심각하다고 답했다.
하지만 감기 등 필요하지 않은 상황에서 항생제를 처방한 경우가 있느냐는 질문에는 20.8%가 그렇다고 답했는데 그 이유로는 환자 요구(30.4%) 때문이라는 응답 비율이 가장 높았다.
한편, 2023년 국내 항생제 사용량(DID·인구 1천명당 하루 항생제 사용량)은 튀르키예에 이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위다. 주요 감염병 병원체에 대한 항생제 내성률 또한 OECD 국가 가운데 최상위권 수준이다.
.





























댓글 많은 뉴스
"김예지, 장애인인 걸 다행으로 알아야…" 유튜버 '감동란'도 고발당해
예산 막차 올라타나…'TK신공항' 극적 반영 기대감
"민생 방치하고 사전선거운동" 국힘, 김민석 국무총리 경찰 고발
대구 오는 정청래 'TK신공항 예산' 지원사격 나설까
문재인 첫 유튜브 댓글 6천500개 중 악플은 몇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