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트럼프 "한국인 구금 말렸었다"…조지아 사퇴 뒤늦게 수습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강경 지지층에 "미안하지만 외국 전문직 필요"
"반대하는 이들도 애국자이지만 이해 못해"

19일(현지시간) 미·사우디 투자포럼에서 외국인 전문직 근로자에 유연한 정책을 펼칠 것임을 강조한 트럼프 대통령. 연합뉴스
19일(현지시간) 미·사우디 투자포럼에서 외국인 전문직 근로자에 유연한 정책을 펼칠 것임을 강조한 트럼프 대통령.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조지아주 한국인 근로자 구금사태 때 "그렇게 하지 말라고 했다"며 뒤늦은 수습에 나섰다. 강성 지지층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제조업을 재건하려면 외국인 전문 인력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재확인한 것이다. 하지만 당시에 알고도 묵인했다 인권탄압 등 후폭풍이 거세지자 물타기를 하려는 것이 아니냐는 비판도 일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19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열린 미·사우디 투자포럼에서 자기 정책 덕분에 미국에 공장을 짓는 외국인 투자자들이 외국에서 전문 인력을 데리고 올 수 있어야 하는 이유를 설명했다. 그는 올해 9월 조지아주의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한국인 노동자 300여명이 이민 당국에 체포된 사건이 벌어진 이후 미국민에게 제조 기술을 전수할 외국 전문 인력 입국을 허용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날 연설에서 그는 이민 당국(ICE)의 한국 배터리 공장 노동자 단속을 언급하면서 "난 '바보같이 그렇게 하지 말라'고 했고, 우리는 이걸 해결했다. 이제 그들(한국인 노동자)은 우리 사람들을 가르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애리조나주에 건설 중인 대만 기업 TSMC에 대해서도 "매우 복잡한 공장이라 운영하려면 수천명의 외국인 전문 인력이 필요하다. 난 그런 사람들을 환영하겠다"고 덧붙였다.

트럼프의 이 발언들은 외국 인력이 미국에 계속 체류하는 게 아니라 공장을 가동하는 업무가 끝나면 본국으로 돌아갈 것이라는 주장으로 지지층의 반발을 누그러뜨리려는 발언으로도 해석된다. 그는 "난 지지층으로부터 비난을 좀 받을 수도 있다. 늘 내 사람들로부터 약간의 비난을 받는다. 이들은 나를 사랑하며 나도 그들을 사랑한다"고 말했다.

더불어 그는 "그들은 믿기 어려울 정도의 애국자들이지만 단지 이해하지 못할 뿐"이라면서 "공장과 장비에 수십억달러를 투자한 사람들이 공장을 열고, 운영하며, 가동하기 위해서는 자기 나라 사람들을 데려와야 한다. 내 지지율이 막 내려갔지만, 똑똑한 사람들 사이에서는 오히려 엄청 올라갔다"고 설득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