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패권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한국 첨단 제조 분야 기업들이 미국에 대한 투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미국은 한국·대만의 집중 투자에 힘입어 글로벌 반도체 산업 지형 재편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3일 맥킨지글로벌연구소(MGI)가 2015년 이후 발표된 그린필드 해외직접투자(FDI) 20만여 건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연간 FDI 규모는 코로나 이전인 2015~2019년 410억달러에서 코로나 이후인 2022~2025년 5월 630억달러로 54% 증가했다. 그린필드 투자는 M&A(브라운필드)를 제외한 신규 설립식 투자를 뜻한다.
이는 같은 기간 글로벌 평균 증가치인 24%의 2배가 넘는 수준이다.
한국의 연간 FDI 규모를 보면 중국은 코로나 이전에는 87억5천600만달러였으나 코로나 이후 6억5천800만달러로 92% 급감했다. 반면 이 기간 북미 투자 규모는 40억6천900만달러에서 272억4천600만달러로 570% 급증했다.
한국의 FDI 중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21%에서 1%로 낮아진 반면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10%에서 45%로 크게 높아졌다.
이는 미국을 중심으로 반도체 및 배터리 등 첨단 제조업 중심의 대규모 투자가 급증한 결과라고 MGI는 설명했다. 실제 삼성, 현대차, LG 등이 현지 투자를 늘리면서 북미 지역에 대한 우리나라의 반도체 및 배터리 관련 투자 규모는 코로나 이전 대비 약 11배 증가했다.
특히 반도체 분야에서 미국은 한국과 대만 FDI의 약 90%를 받아들인 것으로 조사됐다. 코로나 이전과 비교하면 한국의 대미 반도체 투자는 30배, 대만은 1천배 이상 증가했다.
MGI는 미국이 2030년대 초반에는 세계 첨단 반도체 생산량의 20%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미국과 유럽, 일본을 합친 반도체 생산량도 글로벌 점유율이 2022년 10%에서 2030년에는 30%를 넘을 것으로 전망했다.
성정민 MGI 파트너는 "현재 전 세계 첨단 반도체 생산의 65%가 대만, 25%가 한국에 집중된 상황에서 미국에 발표된 대규모 FDI 프로젝트들이 현실화할 경우 글로벌 반도체 경쟁 구도가 재편될 가능성이 크다"며 "대만과 한국을 제외한 지역의 생산 역량이 기존보다 5배 이상 확대될 전망"이라고 예상했다.































댓글 많은 뉴스
"큰손 사업가, 오만해"…北, 부부 총살형에 아이들까지 강제 참관
조국, 부산시장 출마?…"전당대회 이후 마지막에 결정"
與전현희 "패스트트랙 솜방망이 처벌, 나경원 '개선장군' 행세"
"창문없는 지하 2층·6평에 3명 근무"…유튜버 원지, 사무실 논란에 꺼낸 말
홍준표 "오세훈 세운상가 재개발 지지" 여권 종묘 뷰 비판엔 "덕수궁 앞 플라자호텔도 철거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