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주요 4년제 대학 10곳 가운데 8곳 가량이 2025학년도 정시 합격점수 공개 기준을 바꿨다. 이 때문에 2026학년도 정시 예측이 어느 해보다도 더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됐다.
종로학원은 23일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대입 정보 포털 '어디가'(adiga.kr)를 통해 전국 주요 4년제 대학교 99곳을 대상으로 2025학년도 정시 합격점수 공개 기준을 분석한 결과 직전 해와 다르게 발표한 대학이 81개대(81.8%)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2024학년도까지 대부분 대학은 국어, 수학, 탐구 평균 백분위 점수로 내놓았었다. 그러나 올해의 경우 81개 대학 중 72개 대학은 정시 합격점수 기준점을 국어, 수학, 탐구 과목별 백분위 점수로, 9개 대학은 자체 환산 점수로만 공개했다.
서울대는 올해 신입생 정시 합격점수를 자체 환산 점수로만, 연세대는 과목별 백분위 점수로 공개했다. 고려대는 전년도와 동일하게 국어, 수학, 탐구 합산 평균 점수로 발표했다.
이 때문에 전년도와 점수 변화 비교가 어렵고, 대학·학과 간 상대 비교 또한 어려워질 전망이다.
종로학원은 "2026학년도는 수능이 어렵고 의대 모집인원이 축소된 데 가다 '사탐런' 현상과 함께 지난해 정시 합격점수 공개 기준도 달라져 정시 예측이 더 어려워질 수 있다"고 예상했다.
그러면서 "수험생들은 2022학년도부터 2024학년도까지는 대체로 동일 기준으로 발표된 정시 합격 점수를 먼저 체크하고, 2025학년도 입시 결과는 기존 발표 방식과 다른 점을 명확히 인식해 어디가 공개자료뿐 아니라 대학별 설명회와 홈페이지를 통해 발표된 자료까지도 정밀하게 확인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댓글 많은 뉴스
조국, 부산시장 출마?…"전당대회 이후 마지막에 결정"
"큰손 사업가, 오만해"…北, 부부 총살형에 아이들까지 강제 참관
與전현희 "패스트트랙 솜방망이 처벌, 나경원 '개선장군' 행세"
"창문없는 지하 2층·6평에 3명 근무"…유튜버 원지, 사무실 논란에 꺼낸 말
"조민 표창장은 위조" 최성해 총장 고소한 정경심, 경찰 조사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