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안동, 세계인이 찾는 K-관광의 새로운 중심지로 자리매김"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산불피해 '위기를 기회로', 관광 회복·글로벌 확산 원년 삼아
탈춤 축제 160만 등 사계절 축제 '관광도시 안동' 저력 입증
SRT 매거진 '2025 최고의 10대 도시', MICE·관광 선순환

안동시는 올 한 해 산불피해를 위기를 기회로 삼아 세계인이 찾는 K-관광의 새로운 중심지로 자리매김시키는 정책을 적극 추진해왔다. 안동시 제공
안동시는 올 한 해 산불피해를 위기를 기회로 삼아 세계인이 찾는 K-관광의 새로운 중심지로 자리매김시키는 정책을 적극 추진해왔다. 안동시 제공

안동시는 2025년을 '관광 회복과 글로벌 확산의 원년'으로 삼아 산불 피해로 침체된 지역관광을 빠르게 회복시키는 한편, 세계인이 찾는 관광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집중 추진했다.

민선 8기 마지막 해를 맞아 관광수용태세 개선, 콘텐츠 확충, 홍보마케팅 강화, 사계절 축제 운영, MICE 기반 조성 등의 노력을 통해 안동 관광은 단순 회복을 넘어 지속 가능한 관광생태계 구축으로 이어졌다.

지난 3월 발생한 대형 산불피해 이후 관광객 감소가 이어지자 안동시는 '착한 관광, 안동으로 여행 기부' 캠페인을 비롯해 할인 이벤트·SNS 홍보 등 관광 붐업 전략을 전개했다.

특히 '다시, 안동 ON(溫)'은 영수증 페이백, 기부 캠페인, 재능기부 공연 등 참여형 기부 문화를 선보이며 시민에게 정서적 치유를 제공했다.

약 5만 명이 행사장을 찾으며 위축된 소비심리가 회복되었고, 관광업계 지원과 민관협력도 활발히 이어졌다.

암산얼음축제, 수페스타,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등 주요 축제에서 친환경 운영 시스템을 도입해 일회용품 사용을 대폭 줄였다. 특히 탈춤페스티벌에서는 다회용기 회수율 99%를 기록하며 친환경 축제 모델을 제시했다.

축제는 시민·예술인·상인이 함께 만드는 참여형 구조로 운영됐으며, 해외 공연단 60여 개 팀 참여, 해외관광객 8만 명 방문 등 글로벌 문화교류도 확대됐다.

수페스타·탈춤페스티벌에는 170만 명 이상이 방문하며 대한민국 대표 축제로 자리 잡았다.

전통주·전통음식 기반의 'K-미식벨트' 사업도 높은 호응을 얻었다.

전통주 체험프로그램은 조기 매진될 만큼 인기를 끌었고, 안동소주와 안동찜닭이 한일 정상회담 공식 만찬에 오르며 안동 미식의 가치가 세계적으로 인정받아, '맛과 문화가 공존하는 도시, 안동'의 위상을 국내외에 각인했다.

한편, 국내 46개 도시를 대상으로 심사한 '2025 SRT 어워드' 10대 도시에 안동시가 포함되며 관광도시로서의 경쟁력도 다시 확인했다.

쿠팡트래블과 협업한 '안동 테마관' 운영, 서울지역 안테나숍 개관, 명동상인협의회와의 협력 등으로 수도권 관광 노출을 확대했으며, 울릉크루즈(주)와 협약을 체결해 상호 관광객 교류 기반도 강화했다.

TPO와 공동 개최한 '2025 K-CLIP'에는 10개국 유학생이 참여하며 글로벌 관광 인재 양성 도시로서의 위상이 높아졌다. 주요 방송·예능 촬영지로도 주목받으며 관광자원의 대중적 확산 효과도 컸다.

올해는 안동이 국제회의 도시로서의 입지를 강화한 해이기도 하다.

'세계대표자대회 및 KOREA BUSINESS EXPO ANDONG' 등 대형 국제회의 개최로 국제회의 도시 기반이 강화됐고, 참가자들이 지역 관광지를 함께 체험하는 방식이 정착되며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도 높아졌다.

또, 안동국제컨벤션센터와 한국문화테마파크에서 다양한 행사가 열리며 관광·문화·MICE가 결합된 새로운 도시 모델을 만들어냈다.

안동시는 2025년 한 해 동안 관광 회복과 글로벌 확산을 중심으로 지역관광의 새로운 전환점을 만들어냈다. 산불 피해 극복을 계기로 민관 협력 기반을 강화하고, 친환경 축제·미식·MICE 확장으로 관광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구조를 구축했다.

앞으로 안동시는 ▷민관이 함께 만드는 지속가능 관광 ▷사계절이 아름다운 체류형 관광 활성화 ▷글로벌 네트워크 확장 ▷관광형 MICE 육성을 핵심 전략으로 삼아, K-관광 거점도시로의 도약을 이어갈 계획이다.

안동시 관계자는 "2025년 안동 관광은 위기 극복에서 시작해 글로벌 확산으로 나아가는 의미 있는 도약의 해였다"며 "2026년에는 시민과 함께 만드는 지속 가능한 관광생태계를 확립해, 세계 속에서 경쟁력 있는 관광도시 안동을 완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안동시는 올 한 해 산불피해를 위기를 기회로 삼아 세계인이 찾는 K-관광의 새로운 중심지로 자리매김시키는 정책을 적극 추진해왔다. 안동시 제공
안동시는 올 한 해 산불피해를 위기를 기회로 삼아 세계인이 찾는 K-관광의 새로운 중심지로 자리매김시키는 정책을 적극 추진해왔다. 안동시 제공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