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포항시에 사용후 배터리를 재사용하기 위한 안전성 공인 시험·평가시설이 마련됐다.
26일 포항시에 따르면 블루밸리국가산업단지 내 이차전지종합관리센터가 산업통상부 국가기술표준원으로부터 재사용전지 안전성 검사기관으로 지정됐다.
재사용전지 안전성 검사기관은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에 따라 사용후 배터리를 재사용 용도로 활용하기 전에 전기적 성능과 안전성을 시험·평가해 적합 여부를 판정하고, 공식 시험성적서를 발급하는 필수 시설이다.
앞으로 이차전지종합관리센터는 'KC 10031(사용후 전지 재사용을 위한 안전요구사항 한국산업표준)' 기준에 따라 ▷용량·출력·효율 등 전기적 성능 시험 ▷과충전·과방전·단락·충격·진동·온도사이클 등 안전성 시험 ▷화재·열폭주 관련 시험 ▷데이터 정합성 등 기능성 시험을 수행한다.
이차전지종합관리센터가 발급하는 시험성적서는 향후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후 배터리의 품질과 안전성을 입증하는 공식 자료로 활용된다.
현재 포항에서 조성 중인 ▷국가 배터리 순환 클러스터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인라인 자동평가센터 ▷LFP(Lithium·Iron·Phosphate, 리튬·철·인산 배터리) 재활용 실증센터 ▷전기차 사용후 핵심부품 순환이용체계 구축 등 국책사업과 연계돼 회수→평가→재사용·재활용으로 이어지는 전주기 자원순환 체계를 구축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이차전지종합관리센터는 포항이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 지정된 이후 배터리산업 활성화를 위한 거점공간으로서 지난 2021년 준공됐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이번 지정으로 사용후 배터리의 안전한 재사용과 관련 산업 활성화를 동시에 뒷받침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면서 "향후 이차전지종합관리센터를 중심으로 사용후 배터리 자원순환 클러스터를 확충하고, 기업·연구기관·지자체 간 협력을 강화해 배터리 선도도시 포항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경주 지진 이력에 발목?…핵융합 연구시설 전남 나주로
李대통령 "무인기·대북방송 바보짓…北 쫓아가서라도 말붙여야"
김민석 총리 "아동수당 지급, 만13세까지 점진적 확대해야"
대구 찾은 김경수 "내년 지선, 정부 국정 동력 확보에 중요한 선거"
이 대통령, 남아공 동포들에 "또 계엄할까 걱정 않도록 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