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7일 서울 종로 버텍스홀에서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SKT, 네이버와 함께 엔비디아 GPU 26만장 도입을 위한 실무협의단(워킹그룹)을 공식 출범시켰다. 이번 협의체는 경주 APEC 정상회의에서 공개된 대규모 GPU 확보 계획의 실행력을 높이기 위한 정부-민간 공동 컨트롤타워 성격이다.
이번 도입 계획에 따르면 삼성전자·현대차·SKT는 각각 5만장, 네이버는 6만장을 확보할 예정이다. 워킹그룹에는 과기정통부 류제명 2차관을 비롯해 송용호 삼성전자 부사장, 진은숙 현대차 부사장, 유경상 SKT AI CIC장,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 등이 참석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GPU 확보 이후의 활용 전략, 국내 AI 인프라 확충 로드맵, 기업 간 공동 협력 분야 등이 폭넓게 논의됐다. 특히 공급망 불확실성이 여전한 상황에서 정부와 기업이 상시로 정보를 공유하고 신속 대응 체계를 구축하자는 데 의견을 모았다.
워킹그룹은 과기정통부 AI인프라국장이 단장을 맡아 상시 운영되고, 필요시 고위급 회의도 열기로 했다. AI 데이터센터 확충에 필수적인 전력 공급 안정성 문제도 주요 의제로 다뤄졌다. 류 차관은 "기후에너지환경부와 정책협의체를 가동한 데 이어 GPU 수급 기업들과도 전력·송배전 인프라 구축 방안을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 "AI 혁신 속도는 매우 빠르고 국가별 전략도 계속 바뀌고 있다"며 "정부와 민간이 한 팀으로 움직여야 글로벌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이번 협의체를 통해 국내 AI 생태계 강화를 위한 지원 전략을 적극 마련하겠다는 방침이다.































댓글 많은 뉴스
경주 지진 이력에 발목?…핵융합 연구시설 전남 나주로
李대통령 "무인기·대북방송 바보짓…北 쫓아가서라도 말붙여야"
대구 찾은 김경수 "내년 지선, 정부 국정 동력 확보에 중요한 선거"
이 대통령, 남아공 동포들에 "또 계엄할까 걱정 않도록 최선"
김민석 총리 "아동수당 지급, 만13세까지 점진적 확대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