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 연안 침식 위험도 완화… C·D등급 우려 지역 3곳 감소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울진·포항·울릉군 개선 두드러져… 경주 일부 해변은 침식 증가
정밀 조사·DB 구축 완료… 내년 537억 투입해 16개 해역 정비

경북도청 전경. 매일신문 DB.
경북도청 전경. 매일신문 DB.

경북 동해안 연안의 침식 위험도가 전년에 비해 완화된 것으로 분석됐다.

경상북도는 27일 도내 주요 연안 44개 지점을 대상으로 진행한 '2025년 연안침식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침식 우려 지역은 소폭 감소해 전반적으로 개선 흐름을 보였으나 일부 지역은 침식이 심각해 지속적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도에 따르면 침식 우려 지역(C·D등급)은 지난해 24개소(54.5%)에서 올해 21개소(47.7%)로 줄었다. A등급 지역은 1개소에서 3개소로 증가했으며, D등급(심각) 지역은 6개소에서 4개소로 감소해 침식 위험도가 전반적으로 완화된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태풍 영향 감소와 모래 유입 증가, 연안정비사업 효과에 따른 자연 회복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고됐다.

지역별로는 울진군(91.7%→75.0%), 포항시(37.5%→25.0%), 울릉군(40.0%→20.0%)에서 침식 우심률(전체 조사 지역에 대한 침식 우려 지역(C·D등급)의 비율)이 뚜렷하게 감소했다. 영덕군(60%)은 변동이 없었던 반면, 경주시는 22.2%에서 33.3%로 증가해 일부 해변에서 지속적 침식이 관측됐다.

등급이 상향된 지역은 총 10개소로 온양·산포리(울진), 칠포~용한·영일대~두호동(포항), 태하1리(울릉) 등이 포함되며, 하향된 지역은 전동, 하서1~수렴(경주), 남호, 원척~부흥(영덕) 4개소다.

경북도는 이런 지역별 변화에 대해 모래 이동(표사 이동) 방식, 태풍 경로 변화, 그리고 해안 시설물 설치 등 자연·인위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했다.

올해 조사는 드론(UAV)과 레이저를 이용한 정밀 측정 장비인 라이다(LIDAR), 입체 화상을 기록해 주는 스테레오 카메라 등 첨단 장비를 활용해 정밀도를 크게 높였다. 또 독도 서도에서도 드론 관측으로 배후지 포락 현상을 정량적으로 분석했다. 이를 기반으로 연안침식 DB·GIS 체계도 새로 구축해 향후 정책 활용성을 강화했다.

도는 내년에 총 537억 원을 투입해 침식 우려가 큰 포항 영일대, 영덕 고래불, 울진 후포면 금음·봉평2리, 울릉도 태하1리 등 16개 해역에 연안정비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자연친화형 정비 확대, 드론 기반 상시 모니터링, 취약지역 정밀 조사 등도 병행한다.

최영숙 경북도 환동해지역본부장은 "연안은 도민 삶과 지역경제의 중요한 기반"이라며 "과학적 자료에 기반한 맞춤형 연안 관리로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해안을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mWiz
1800
AI 뉴스브리핑
정치 경제 사회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는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내란 방조 혐의로 징역 15년을 구형받자 홍준표 전 대구시장이 그를 비판하자 '이제와서 할 소리...
정부와 여당이 주식시장 세제를 강화하겠다는 발언을 하면서 개인투자자들의 반발이 커지고 있습니다. 금투세 도입에 긍정적인 여당 의원들이 증가하고,...
최근 순천의 다이소 매장에서 중년 직원이 젊은 여성 손님에게 무릎을 꿇고 사과하는 장면이 담긴 영상이 확산되며 갑질 논란이 일고 있다. 한편, ...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