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孟子가 대성하게 된 것은 그 어머니가 나쁜 교육환경을 피해 세번이나 이사한 三遷(삼천)의 가르침에서 비롯된다 하겠다. 인간은 흔히 서책을 통해서보다 주변 환경을 통해서 영향을 받고 인격을 도야하기 십상이다. 이른바 孟母(맹모)의 三遷之敎(삼천지교)가 그 귀감으로 오랜세월 회자되어 오는 것도 그런 연유때문일성 싶다. ▲요즘의 우리 사회는 총체적으로 새 세대를 길러낼만한 교육환경과는 동떨어진 것만 같다. 우리 시대는 과연 이들 감수성 강한 청소년들에게 먹고 입고 노는 것외에 어떤 정신 문화의 토양을 펼쳐놓고 있는지 새삼 되돌아보게 된다. ▲이런 측면에서 최근 두달사이 신세대 가수들이 4명이나 자살, 자해소동을 벌인 것은 전직 대통령의 잇따른몰락을 지켜 보아온 신세대들에게 또 다른 큰 충격이었음직하다. '至尊'(지존)에서 영어의 몸으로전락한 전직 대통령의 모습이나 부모형제나 친구보다 더 가까웠던 '우상'의 죽음은 민감한 청소년들에게 결코 교육적인 모습은 아니었다. ▲이뿐만이 아니다. 정치 지도자들의 권력 쟁취를 위한진흙탕 싸움에서 우리는 '거짓말도 계속 밀어붙이면 듣는 쪽이 오히려 부끄러워 진다'는 희한한진리를 깨닫는 판국이니 여기서 청소년들이 무엇을 배울 것인지 불문가지다. ▲'개같은 날의 오후'라는 영화제목이 말해주듯 우리는 더 많이 벗기고 더 강하게 떠들어야 먹혀드는 세태에 살고있는 가보다. 그렇다면 우리 청소년들은 무엇을 보고 생각하며 어떻게 자라야 하는 것일까.
댓글 많은 뉴스
대법원 휘저으며 '쇼츠' 찍어 후원계좌 홍보…이러려고 현장검증?
장동혁 "어제 尹면회, 성경과 기도로 무장…우리도 뭉쳐 싸우자"
[단독] 카카오 거짓 논란... 이전 버전 복구 이미 됐다
[사설] 대구시 신청사 설계, 랜드마크 상징성 문제는 과제로 남아
박정훈 "최민희 딸 결혼식에 과방위 관련 기관·기업 '축의금' 액수 고민…통상 정치인은 화환·축의금 사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