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금융노련 부위원장 김기준씨

"외환위기 전인 97년만 해도 금융노련 소속 조합원이 13만여명에 이르렀습니다.

그런데 IMF가 닥친 뒤 1년만에 조합원 4만여명이 줄었습니다. 은행 구조조정으로 실직한 것이죠. 한 때 이를 거부하기 위해 파업 직전까지 갔지만 결국 받아들여야 했습니다"

대구라운드 세계대회에 참가한 한국노총 전국금융노동조합연맹(이하 금융노련) 김기준 부위원장은 당시 정부조차 이같은 대규모 정리해고를 막을 힘이 없었다고 밝혔다.

"다시 말해 IMF가 정부에 강요한 구조조정 프로그램에 이미 정리해고에 관한 조항이 들어있었던 겁니다. 뭐든 시키는 대로 하겠다고 두 손을 들어버린 정부가 우리를 위해 할 수 있는 것은 전혀 없었습니다. 정부는 지난 수십년간 관치금융을 통해 부당대출을 종용, 은행의 부실채권을 눈덩이처럼 키워놓고 정작 이에 대한 죄 값은 아무런 잘못도 없는 금융 근로자들이 져야 했던 것입니다. IMF를 제소하게 된 것은 바로 이 때문입니다"

김 부위원장은 IMF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소송에서 반드시 이긴다는 생각은 없다고 말했다. 다만 현 국제경제사회에서 무소불위의 권력을 행사하는 IMF를 법정에 세운다는 것이 무엇보다 큰 의미를 지닌다는 것.

"금융노련은 이번 대구라운드를 통해 전세계 시민단체에게 IMF 제소방침을 알렸습니다. 지난 6월 G7 회담과 파리 ATTAC회의에서 상당한 반향을 불러일으킨 바 있습니다. 이번 손해배상 소송의 진행과정과 결과를 국제시민사회는 관심있게 지켜볼 것입니다"

金秀用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