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임 이근영(李瑾榮) 금융감독위원장은 9일 취임식 직후 기자간담회를 갖고 "시장원리에 입각해 금융정책을 펴되 금융기관에 대한 건전성 감독을 통해 금융.기업구조개혁을 지속 추진하겠다"고 각오를 밝혔다.
다음은 이 위원장과의 일문일답.
-현대문제를 어떠한 시각으로 인식하고 있는가.
▲현대문제는 형제간 경영권 분쟁과 현대건설의 유동성 위기에서 비롯됐다. 채권단과 현대가 시장신뢰를 회복할 자구방안을 협의하고 있다. 현대그룹이 시장의 신뢰를 회복, 금융거래가 정상화될 때 문제가 해결될 것이다.
-현대측 오너, 경영진과 만날 용의가 있는가.
▲아직까지 그런 적이 없으며 앞으로도 만나지 않을 것이다. 채권단과 현대간 문제다. 정부가 기업문제 전면에 나서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현대측에 제시한 3대 요구사항 가운데 문제경영진 퇴진이 들어있는데.
▲채권단이 자사의 건전성을 고려할 때 (돈을 빌린)기업의 경영진 퇴진을 요구할 수 있다.
-정부가 나서서 현대문제를 해결할 생각은 없는가.
▲이 문제는 채권단이 현대와 협의해 해결할 문제다. 정부가 현대측과 직접 상대하는 일은 없을 것이다. 다만 정부는 채권단의 건전성 감독권을 통해 개입할 뿐이다.
-현대의 자구계획이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이면 어떻게 되는가. 또 현대에 대한 제재에는 워크아웃도 포함되는가.
▲시장의 신뢰를 회복할 수 없는 자구안을 내놓는다면 채권단이 자사의 건전성을 고려해 상응하는 조치를 취할 것이다.
-2단계 금융구조개혁은 어떻게 되는가.
▲금융구조개혁은 국내 금융기관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것이다. 기존에 추진돼오던 것은 지속적으로 밀고 나간다. 정책의 변화는 없으며 2단계 금융구조개혁은 올해 말을 시한으로 추진될 것이다. 노사정 합의내용도 그대로 이행될 것이다.
-재경부 장관이 '부실은행을 금융지주회사로 묶지 않을 것'이라는 발언을 했었는데.
▲정부의 입장은 금융지주회사로 묶기 전에 은행의 부실을 모두 클린화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로 말씀하신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
교착 빠진 한미 관세 협상…도요타보다 비싸지는 현대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