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개발지상주의가 풍미했던 1970년대엔 공해가 환경오염을 대표하면서 공해추방운동을 중심으로 환경운동이 전개됐다.
80년대로 접어들면서는 많은 환경운동조직이 생겨났고 환경보전과 경제성장의 조화를 추구하게 됐다.
90년대엔 환경조직이 국제화되고 세분화되면서 환경 우선론이 조화론을 앞질렀다.
환경운동의 방법도 시위, 점거에서부터 교육, 홍보, 주민연대, 환경소송을 거쳐 국제연대로까지 발전했다.
또 각 지방의 환경문제부터 지구의 생물종(種) 다양성, 열대우림 문제, 지구온난화 등에 이르기까지 활동영역이 넓어졌다.
1972년 스톡홀름에서 열린 UN환경회의에서 환경문제를 국제 강령으로 삼은 이후 92년 브라질 리우 UN환경개발회의에서 환경을 우선으로 하는 지구환경보전 강령 '의제 21'을 채택했다.
지난해 요하네스버그에서 열린 '지속가능 발전을 위한 세계정상회담(WSSD)'에선 리우회의 이후 10년간의 성과를 평가하고 향후 10년간 추진 전략을 세우는 등 지속가능 발전의 현실적 토대를 마련했다.
또 '지방행동 21'을 발표, '의제 21'의 실천을 촉구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각 국가들은 2005년까지 지속가능 발전전략을 수립해 관련제도나 기구를 정비하고, 지방정부의 적극적인 참여를 강력 권고하게 됐다.
대구시나 경북도는 물론 시, 군, 구 단위의 기관들도 경제, 사회, 문화 등의 분야에서 예산편성을 할 때 지속가능성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지속가능 발전성은 국가, 영역, 집단, 부문간 그리고 인간과 자연 사이에서 균형을 이룰 때 비로소 가능하다.
우리나라도 지속 가능하려면 이제 '녹색 사회'로 방향을 잡아야 한다.
환경지향성 경영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국가간 무역 환경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만큼 기업들도 환경패러다임의 변화를 깨닫고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하다.
이젠 지방정부, 기업, 환경단체, 시민 모두가 '지방행동 21'을 제대로된 수행을 위해 적극 나서야 한다.
△경제, 사회, 환경을 통합한 예산 편성 △목표 설정과 좋은 평가제도 △시민의 자발적 참여를 위한 원활한 관리제도 △지속가능한 투자 및 관리, 조달 정책과 소비패턴 개발 △자연자원의 효과적 통합관리 등 대책 마련과 실천이 시급하다.
(맑고푸른대구21추진협의회장)
댓글 많은 뉴스
이진숙·강선우 감싼 민주당 원내수석…"전혀 문제 없다"
"꾀병 아니었다…저혈압·호흡곤란" 김건희 여사, '휠체어 퇴원' 이유는
[사설] 민주당 '내란특별법' 발의, 이 대통령의 '협치'는 빈말이었나
전국 법학교수들 "조국 일가는 희생양"…李대통령에 광복절 특별사면 요청
첫 회의 연 국민의힘 혁신위, "탄핵 깊이 반성, 사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