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경제성장률이 외환 위기 이후 최악의 수준인 3.1%로 추락했다.
또 국민계정 통계 산출 방식이 바뀌면서 지난해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1만
2천646달러로 집계됐으나 아직도 96년 수준에서 맴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23일 발표한 '2003년 국민계정(잠정)'에 따르면 작년에는 수출과 건
설 부문의 호조에도 불구하고 민간 소비와 설비투자의 부진으로 국내총생산(GDP)이
외환 위기 이후 가장 저조한 3.1% 성장에 머물렀다.
이번에 새로 바뀐 통계 산출 방식을 적용해 집계한 수정 성장률은 98년 -6.9%에
서 99년 9.5%로 크게 반전한 뒤 2000년 8.5%, 2001년 3.8%, 2002년 7.0% 등 비교적
높은 수준을 유지하다 작년에 다시 급락했다.
작년의 분기별 성장률은 1.4분기 3.7%에서 2.4분기 2.2%와 3.4분기 2.4%로 추락
했다가 4.4분기에 3.9%로 다소 회복돼 경기순환곡선이 미약하나마 상승 국면으로 기
울었음을 시사했다.
아울러 민간 소비 증가율은 2002년의 7.9%에서 작년에는 -1.4%로 급랭했고 이중
가계 소비는 7.9% 증가에서 1.5% 감소로 돌아섰다. 설비투자 증가율도 7.5%에서 마
이너스 1.5%로 반전돼 경기 회복의 핵심인 소비와 투자가 모두 부진함을 반영했다.
지난해의 1인당 명목 GNI는 1만2천646달러로 2002년의 1만1천493달러보다 10.0%
가 증가했다. 이는 원/달러의 연 평균 환율이 작년에 4.7% 하락한데 따른 것이라고
한은은 설명했다.
1인당 GNI는 1996년 1만2천197달러에서 외환 위기 발생 직후인 98년 7천355달러
로 주저앉았다가 98년 9천438달러로 회복된 후 2000년 1만841달러, 2001년 1만162달
러 등으로 소폭의 등락을 보여 왔다.
작년도의 1인당 GNI를 원화로 환산하면 1천507만원으로 2002년에 비해 4.8% 증
가에 머물렀다.
조성종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작년 4.4분기에 수출 호조로 성장률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올 1.4분기에도 성장률이 높게 나올 지는 두고 봐야 한다"고 말하고 "작년
의 연간 성장률이 낮은 것은 투자와 소비가 회복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작년의 총 저축률은 소비 지출 감소와 민간 저축 증가에 힘입어 2002
년의 31.3%에서 32.6%로 올라갔다.
산업구조로는 건설업의 비중이 9.6%로 전년의 8.6%보다 높아졌을 뿐이고 서비스
업은 57.5%에서 57.2%, 광공업은 27.2%에서 26.9%, 농림어업은 4.1%에서 3.6%로 각
각 낮아졌다.
아울러 GDP 성장 기여율은 제조업이 40.3%로 전년의 28.0%에 비해 높아졌고 건
설업도 3.0%에서 19.2%로 급상승했으나 서비스업은 54.9%에서 28.5%로 급락한 것으
로 분석했다.
한편 한국은행은 통계 기준이 16년 만에 68SNA(국민계정체계)에서 93SNA로 변경
됐고 기준연도 역시 95년에서 2000년으로 바뀌면서 생산과 소득의 95년 이후 수치가
모두 조정됐다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