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입시 고교등급제 논란이 증폭
되고 있다. 비강남권 학부모들과 전교
조 등 교원단체는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고 대학 측에서는 30%가'수'를 받
는 등 내신 부풀리기가 엄연한 현실이
고 고교간 학력차가 커 고교등급제는
변별력 강화를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
라고 주장하고 있다.
고교등급제는 한국 교육의 불신과
실패를 상징하고 있다. 먼저 대학 측
에 묻고 싶다. 선배들의 진학 성적을
근거로 후배들에게도 비교우위를 인
정하는 것은 교육이념에 위배되는 것
이 아닌지 묻고싶다. 학생들을 평가할
다양한 기준과 방식을 찾는 대신 고교
등급제라는 손쉬운 방법을 택한 것이
아닌가.
이제 일선 학교와 전교조도 달라져
야 한다. 사실상 부정에 가까운 내신 부풀리기를 하고 평준화를 명분으로
무작정 등급제를 반대하면 어떻게 하
는가.
완벽한 입시제도를 만드는 일은 불
가능에 가깝다. 하루 아침에 평준화의
틀을 허물 수도 없다. 각 교육주체는
소모적인 이념논쟁을 할 것이 아니라
학력차를 반영하면서 실력 있는 학생
을 선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머리를 맞대야 한다.
이자연(대구시 용산동)
댓글 많은 뉴스
[단독] 4대강 재자연화 외친 李 정부…낙동강 보 개방·철거 '빗장' 연다
李대통령, 24일 취임 후 첫 대구 방문…"재도약 길, 시민 목소리 듣는다"
李대통령, 24일 대구서 타운홀미팅…"다시 도약하는 길 모색"
나경원은 언니가 없는데…최혁진 "羅언니가 김충식에 내연녀 소개"
김현지, 국감 첫날 폰 2번 바꿨다…李 의혹때마다 교체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