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부도심인 동대구로 일대에 난립하고 있는 고층 주상복합 빌딩, 오피스텔들은 높이제한을 받지 않고 용적률, 건폐율도 유리해 일조권·조망권 침해, 교통정체, 학교 부지난, 지가상승 등 각종 부작용을 유발하고 있다.
◇주상복합, 부작용 속출
범어네거리 코오롱 주상복합 아파트(32층, 215가구) 입주민들은 지난 2월 아파트 바로 앞에 오피스텔 건축허가가 나자 건축주를 상대로 공사금지가처분 소송을 냈다. 새 오피스텔 두 동의 높이가 같은 20층인 데다 아파트와의 간격이 가까운 곳은 10m에 불과해 조망권에 심각한 피해가 있다는 탄원이다.
범어1동 우방궁전맨션(12층) 주민들은 인근에 들어설 계획인 20층, 220여가구 규모의 한 주상복합 아파트로 인해 범어공원과 녹지가 가린다며 지난 4월부터 구청에 연이은 탄원을 넣고 있다.
수성구청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최근까지 들어온 민원배심원제 안건 20건 중 19건이 조망권, 일조권, 소음·분진 등 건축민원이다.
◇교통난
범어동 범어네거리에 대구 최대 높이(52층)로 추진 중인 주상복합 아파트는 1천570가구 규모에 10개관을 갖춘 멀티플렉스 영화관까지 들어설 예정이다. 대구시 교통영향평가 자료에 따르면 이 아파트의 발생교통량(오후 6~7시)은 2008년 1천200여 대에서 2012년 1천300여 대로 늘어나 동대구역 네거리 방면으로 3분50초, 범어네거리로 2분30초가 늦어진다. 고질적인 만촌네거리~수성교 구간 출근시간대 교통혼잡이 심해질 수밖에 없다.
두산동 대우 트럼프 월드(42층, 960가구)로 인해 2012년 기준 동대구역 네거리 방면은 3분30초, 범어네거리 방면은 2분30초가 지체된다. 이달 초 교평을 통과한 황금네거리 주상복합 건물도 들안길 서편으로 1분30초가량 차량 소통이 늦어지게 할 전망이다.
교통전문가들은 "교평이 사업부지 반경 5km의 교통영향을 따지지만 실제와 얼마나 일치할지 예측하기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학교부지난
근거리 배정원칙인 초등학교는 더욱 심각하다. 현재 전교생이 600명인 범어동 범어초교 경우 인근 1천570가구 주상복합 아파트가 들어서는 시기에 맞춰 24개 교실을 증축해야 할 판이다. 해당 학교 관계자는 "학교 여건상 신축은 바람직하지만 증축은 건물 구조상 어렵다"고 했다. 동대구로에 위치한 많은 학교들이 교실증축에 따른 운동장 축소, 부대시설 부족을 걱정하고 있다.
◇왜 '수성구' '주상복합' 인가?
현재 동대구로 일대에서 사업승인과 교평을 통과해 추진 중인 20층 이상 고층건물은 모두 23곳. 수성구 전체 20층 이상 고층건물 49곳 중 절반 가깝게 몰려 있다. 이중 주상복합이 12곳, 오피스텔이 5곳이다.
'동대구로 몰림 현상'은 두산 오거리~MBC네거리 일대가 주상복합, 오피스텔 건립에 유리한 중심·일반상업 지역이기 때문이다.(위치도 2 참조) 근린상업지역(폭 25m이하)에 비해 넓은 부지 확보가 용이하고 주거지역에 비해 각종 규제(일조권·조망권·용적률·건폐율)가 약하거나 없다.
한 도시계획 전문가는 "이 같은 주상복합의 왜곡은 우수한 학군·학원과 도시기반시설을 갖춘 수성구이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라며 "중심 상업지 개발과 도심 공동화를 막기 위해 규제를 낮췄지만 정작 소수 부유층의 주거공간으로 자리잡고 있다"고 지적했다.
◇도시계획 기본틀 위태롭다
영남대 도시공학과 김타열 교수는 "용적률이 높은 고층 주상복합 빌딩이 들어설수록 주거환경은 열악해 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현재 대구시의 용적률·건폐율은 7대 광역시 중 부산과 비슷한 수준이지만 서울, 인천, 광주보다 높다. 고밀도 개발의 물꼬를 터놓은 셈이다.
대구시도 2020년 기준 주택보급률을 100%(2005년 현재 87%)로 전망하고 있는데, 40~50층 건물이 20년 이후 노후 됐을 경우 재건축이 쉽지 않아 공가(空家)로 남을 것이란 우려 섞인 시각도 있다.
김 교수는 "제도적으로 주상복합 빌딩의 용적률을 낮추는 등 개발밀도를 제한하는 대책이 수립돼야 한다"며 "현재처럼 시장기능에만 맡기면 수성구 등 일부지역에만 개발이 편중돼 도시계획이 균형감각을 상실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최병고기자 cbg@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김민웅 "北, 세계정세의 게임 체인저"…주진우 "金, 보수 살릴 게임 체인저"
이진숙 "머리 감을 시간도 없다던 최민희…헤어스타일리스트 뺨칠 실력"
장예찬 "강유정 포르쉐가 장동혁 시골집보다 비쌀 것"
한미 관세 협상 타결…현금 2천억+마스가 1500억달러
"이재명의 승리" "역사적 업적"…관세협상 타결에 與 칭찬세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