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혁신위원회가 21일 혁신안을 최종 확정함에 따라 박근혜(朴槿惠) 대표, 이명박(李明博) 서울시장, 손학규(孫鶴圭) 경기도지사, 강재섭(姜在涉) 원내대표 등 당내 대권후보들이 이해 득실계산에 분주하다.
물론 혁신안이 당의 공식정책으로 확정되기까지는 의원총회와 운영위원회 의결이라는 절차를 남겨두고 있지만, 당내 제 계파들이 모인 혁신위가 결정한 사안인 만큼 그 파급력을 무시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혁신안에서 눈에 띄는 부분은 대선 후보 선출시 여론조사 결과 20%를 새로 반영키로 한 것.
이는 각종 여론조사에서 한나라당 대권후보 중 1, 2위를 다투며 각축 중인 박 대표나 이 시장보다는 손 지사와 강 원내대표가 불리할 것이라는 게 중론이다.
이에 대해 손 지사의 한 측근은 "여론이야 지금 높았다가도 향후에는 낮아질 수 있는 것 아니냐"면서 '큰 의미'를 두지 않는다는 입장을 나타내면서도 "혁신안이 당의 환골탈태를 바라는 국민의 기대에 부응했느냐가 중요한 것 아니겠느냐"며 불편한 심경을 우회적으로 내비쳤다.
강 원내대표 측도 "게임은 공정한 룰에 따라 이뤄져야 한다"면서 여론조사 결과 반영안에 대해 반발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현행 '대표-원내대표 투톱 체제'를 전면 개편해 당무 최고집행기구로 최고위원회의를 두는 집단지도체제를 도입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박 대표 측이 거부감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최고위원들에게 실질적 의사결정권을 주는 것인 만큼 결국 박 대표의 당 장악력을 약화시키지 않겠느냐는 시각에서다.
또 대선 1년6개월 이전부터 당권과 대권을 분리하고, 대선에 출마코자 하는 대권후보에 대해서는 '예비후보 등록제도'를 둬 대선후보 경선 4개월 전에 상임고문직을 부여, 당무에 관여할 수 있도록 한 것 역시 '기득권'을 가지고 있는 박 대표로서는 그리 '이문이 남는 장사'는 아닐 것으로 보인다.
반면 당내 기반이 박 대표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한 이 시장과 손 지사에게는 '고무적'인 일이 될 전망이다.
한편 홍준표 혁신위원장은 22일 라디오 시사프로그램에서 고건(高建) 전 총리의 대선후보 영입문제에 대해 "지난 2002년에도 자녀 병역문제로 우리가 멍이 들었던 적이 있다"면서 "고 전 총리 본인뿐만 아니라 자녀도 다 병역 문제가 있는데 우리가 영입해야 할지 걱정"이라고 말했다.
(연합)






 
         
    
    















 
                     
                     
                     
                     
                    












 
             
            









댓글 많은 뉴스
김민웅 "北, 세계정세의 게임 체인저"…주진우 "金, 보수 살릴 게임 체인저"
이진숙 "머리 감을 시간도 없다던 최민희…헤어스타일리스트 뺨칠 실력"
장예찬 "강유정 포르쉐가 장동혁 시골집보다 비쌀 것"
한미 관세 협상 타결…현금 2천억+마스가 1500억달러
"이재명의 승리" "역사적 업적"…관세협상 타결에 與 칭찬세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