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병원균의 병원성 유전자를 빠르고 간편하게 검색하고 분석할 수 있는 인터넷 서비스가 등장, 신·변종 전염병이나 바이오테러, 동식물 질병 등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 과학기술부 미생물유전체활용기술개발사업(단장 오태광)의 미생물유전체정보기지(연구책임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김지현)는 병원균의 병원성 유전자 부위를 체계적으로 조사, 정리해 데이터베이스(DB)로 만들어 병원성 유전자를 빠르게 검색하고 분석할 수 있게 한 인터넷 서비스(www.gem.re.kr/paidb)를 시작했다고 27일 밝혔다.
미생물 유전체 상에서 다른 미생물로부터 도입된 병원균의 병원성 유전자 부위를 학술적으로 '병원성 유전자 섬(pathogenicity island, PAI)'이라고 한다. 연구팀은 '알려진 PAI' 889개와 118종의 미생물 유전체 내에서 '예측된 PAI' 310개를 DB화해 간편하게 검색할 수 있게 했다. 특히 PAI 파인더라는 검색엔진을 이용하면 임의의 유전자 서열에서 PAID가 포함돼 있는지를 분석할 수 있게 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