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선물이냐 뇌물이냐] 선물 잘하는 방법은?

"상대방이 찐한 감동 느낄 정성을 먼저 생각하라"

대선정국의 와중에 세상을 시끄럽게 하고 있는 삼성비자금 의혹을 수사할 '삼성비자금특별수사본부장'으로 임명된 박한철 울산지검장.

그는 평소 선물을 잘하기로 소문난 사람이었다. 검사라면 일반적으로 선물을 주기보다는 받는 일이 더 많은 직업이다. 하지만 박 본부장은 선물을 잘 하기로 알려져있다. 박 본부장의 선물은 마음을 담은 시(詩)다. '4월은 가장 잔인한 달 / 죽은 땅에서 라일락을 키워내고 기억과 욕망을 뒤섞으며 / 봄비가 잠든 뿌리를 뒤흔든다'(T.S 엘리엇의 황무지). 지난 4월 울산지검에 부임하자마자 T.S 엘리엇의 시를 몇몇 직원들에게 보냈다.

그후 그는 기회있을 때마다 내부통신망이나 쪽지로 직원들에게 시를 선물해왔다. 떡값 논란을 파헤쳐야 할 검사가 보냈던 한편의 시 선물. 어울리지 않을듯한 조합이지만 삭막해 보이는 검찰청에서 받는 한 편의 시는 참 좋은 느낌을 준다.

정성을 담아 보낸 선물은 받는 사람의 마음을 감동시킨다. 그러나 으레 보내는 혹은 낯 설거나 잘 모르는 사람이 보내온 선물은 부담스럽거나 마음을 다치게 하기도 한다.

선물은 예의를 갖춰서 보내는 정성이라는 뜻이다. 당신은 가슴에 남는 감동적인 선물을 받은 기억이 있는가. 혹은 사랑하는 사람이 가슴 뭉클해질 정도의 선물을 한 적이 있는가. 이런 선물이라면 주는 사람이나 받는 사람 모두가 즐거울 듯하다.

#1

이영애와 이정재가 주연한 영화 '선물'에서 시한부 삶을 사는 박정연(이영애 분)은 죽기 직전, 남편 정용기(이정재 분)에게 낯익은 사진 한 장을 건넨다. 초등학교 시절에 찍은 낯익은 사진 한 장에는 그가 있었다. 그녀에게 그는 첫 사랑이자 마지막 사랑이었다. 그 사진은 '세상이 그에게 준 가장 아름다운 선물'이었다.

#2

40대의 공무원인 ㄴ씨. 얼마 전 밸런타인데이 때 뜻밖의 소포를 받았다. 발신인이 적혀있지 않은 소포안에는 상자가득 초콜릿이 들어있었다. 뒤늦게 첫사랑 연인이 보냈다는 걸 알았다. 10여 년 전에 헤어졌던 그녀가 인터넷 등을 찾아 수소문한 끝에 그가 근무하는 직장을 알고 불현듯 초콜릿선물을 보낸 것이다. 그는 "깜짝 놀랐지만 특별한 기억이었다. 발신인이 없어 연락은 못했지만 아련히 옛사랑의 기억을 떠올렸다."고 했다.

#3

교사생활 20년째인 ㅇ씨. 그녀는 초임시절 한 학부모로부터 돗자리를 선물 받은 것이 아직도 잊히지 않는다. 비가 억수같이 내리던 어느 여름날이었다. 한 학부모가 비를 흠뻑 맞으면서도 돗자리를 어깨에 메고 학교에 와서는 선물로 불쑥 내밀었다. 빗속을 뚫고 힘들게 가져 온 돗자리를 그 자리에서 받지않겠다고 외면할 수가 없었다. 지금 생각해도 가슴이 뿌듯해지는 선물이었다. 그 밖에도 손수 담근 김치나 밑반찬을 가져다줄 경우 냉정하게 거절하기가 참 곤란하다. 돈으로 바꿀 수 없는 정성이 가득 담겨있기 때문이다.

또 다른 교사는 전에 근무하던 학교의 한 학부모가 보낸 꽃바구니를 최고의 선물로 꼽았다. 꽃바구니에는 '너희들은 세상에서 가장 좋은 선생님을 만났다. …"며 현재의 학급 아이들에게 보내는 편지도 들어있었다.

#4

간부급 공무원인 ㅇ씨. 추석과 설 등 명절 때와 인사철에 선물이 집중된다. 공직사회에서는 '선물안주고 안받기운동'이 벌어지고 있을 정도로 떡값과 선물논란에 민감하지만 간단한 인사치레성 선물은 어쩔 수 없이 받게 되는 경우가 적지않다고 털어놓는다.

그래서 아내에게 부탁을 해놓는다. 부담없는 간단한 선물이라도 집에서 받게 되면 보낸 사람의 명함을 떼버리라고 당부해 뒀다. 누가 보냈는지 아는 것이 부담스러울 수 있기 때문이다.

서명수기자 diderot@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