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苦물가…얇은 월급 텅빈 장바구니

2월 대구소비자물가 3.5% 상승…라면값 인상 반영땐 더 올라가

'양배추 200.3%, 파 136.0%, 조기 101.4%, 부침가루 128.1%, 밀가루 60.2%, 대리운전 이용료 20.0%….'

안 오른 것이 없다. '하늘 높은 줄 모른다'는 수식은 이제 맞지 않는다고 주부들은 말한다. '물가가 미쳤다'는 주부들의 하소연이 나오고 있는 것이다.

물가안정이 이명박정부 출범 초기 최대 화두이자 국정과제로 대두됐지만 널뛰는 물가는 진정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대구경북통계청이 3일 발표한 2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대구의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3.5%나 올랐다. 최근 5년간 상승치를 따져봤을 때 가장 큰 폭의 오름세다. 한 달전에 비해서도 0.6%나 상승했다.

하지만 통계청 발표는 실제 물가 오름세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 실제로 지난달 20일 이뤄진 라면값 인상이 지난달 물가지수에 반영되지 않았다. 물가 조사 시점(15일) 이후에 라면값 인상이 이뤄진 때문이다.

서민들의 대표적 외식 메뉴인 자장면값도 마찬가지다. 통계청은 지난달 대구시내 자장면값 상승률이 지난해 같은 시기에 비해 15.1% 올랐다고 했지만 3천원 하던 대구시내 자장면값이 최근엔 대다수 음식점에서 4천500원까지 올랐다. 한그릇 듬뿍 담아주던 양도 줄었다. 자장면값이 순식간에 50%가량 올라버린 것이다.

물가를 잡아야 할 중앙 및 지방정부도 물가 상승에 '한몫' 거들고 있다.

대구경북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대구시내 행정수수료가 19.5% 오른 것을 비롯, 대구시가 사실상 인상폭을 통제하는 도시가스 요금도 8.7%, 상수도요금도 8.5%나 인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통상적으로 2월의 경우, 설명절이 끼는 경우가 많아 물가가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인데 지난달 물가가 급등했다는 사실은 이달엔 물가가 더 뛸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 이르자 소비자들은 싼 점포·식당 찾기, 덜 필요한 물건 안쓰기, 대중교통 이용하기, 가계부 쓰기 등 초고물가시대에 살아남는 다양한 자구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대구백화점 경우, 고유가가 이어지자 이례적으로 지난달말 주부들을 상대로한 기름값 등 에너지 비용 줄이기 교육 프로그램까지 마련, 주부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이마트·홈플러스 등 대형소매점들도 가격 거품을 뺀 자체 브랜드(PB) 상품을 지난달말부터 크게 늘렸으며 소비자들은 평균 20, 30% 가격이 싼 PB제품 구매를 늘리고 있다는 것.

한편 정부는 물가폭등과 관련, 3일 국무회의를 열고 ▷휘발유·경유 등 유류세 10% 인하 ▷택시 LPG특소세 5월부터 인하 등의 긴급 대책을 통과시켰다. 정부는 또 새로 꾸려진 '서민생활안정 TF팀'의 첫 회의를 5일 개최, 물가 잡기를 위한 다양한 대책을 마련할 방침이어서 이명박 정부가 과연 물가를 잡을 수 있을지 주목되고 있다.

대구시와 경북도도 물가 안정을 위해 TF팀을 만들어 지방정부 차원의 대책을 내놓을 계획이며 사재기 등의 물가안정 저해 사범에 대해 경찰, 국세청, 공정거래위원회 등과 합동단속을 벌이기로 했다.

최경철기자 koala@msnet.co.kr 모현철기자 momo@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