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MB 국정쇄신책 무엇을 담기에…모든 대책 강구

취임 100일을 맞는 이명박 대통령이 시름에 잠겨 있다. 미국산 쇠고기 수입 문제 등으로 지지율이 곤두박질치고 있지만 '처방'이 마땅치 않아서다. 위기 극복을 위해 이 대통령이 마련 중인 쇄신책과 그 효과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그 정도 갖고 되겠느냐?'=이 대통령은 중국 방문을 마치고 귀국한 뒤 한승수 국무총리, 청와대 수석 등으로부터 국정 쇄신책을 보고받았다. 다양한 채널로 국가 원로들의 자문도 들은 것으로 알려졌다. 1일 청와대 수석들의 보고를 받으며 이 대통령은 "그 정도 갖고 되겠느냐"고 했다. 근본 처방전을 찾기가 쉽지 않다는 고민의 토로이다.

따라서 청와대는 하나의 정책이 아니라 인적 쇄신과 민생 대책 등 국민의 가려운 곳을 긁어줄 수 있는 모든 대책을 동원할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이와 관련 "단순 감기약으로 정국이 수습될 일이 아니라고 판단해 근본적인 종합감기약 처방을 준비하고 있다"고 전했다.

◆인적쇄신 폭은=이 대통령의 방중 이전만 해도 인적 쇄신은 전혀 검토하고 있지 않는 분위기였다. 취임 100일도 안 돼 대국민 사과까지 한 마당에 장관과 청와대수석까지 바꾸라고 이 대통령에게 건의할 사람도 없었던 게 사실이다. 이 대통령에게 '백기'를 들라는 것과 마찬가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촛불집회가 격렬해지면서 분위기가 급변했다. 각계에서 이 대통령에게 인적 쇄신을 건의했고 청와대는 이를 수용했다. 문제는 그 폭이다. 일각에선 류우익 대통령실장을 비롯한 청와대 수석들의 일괄사퇴론까지 나오고 있으나 그럴 경우 정권이 송두리째 흔들린다는 점에서 가능성이 낮다.

쇠고기 협상과 직접적 관련이 있는 정운천 농림수산식품부 장관과 김성이 보건복지가족부 장관, 국가예산 모교 기부 사건을 일으킨 김도연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이 우선 교체 검토대상이다.

청와대 참모의 경우 정무·민정·홍보라인 교체 및 강화가 우선 고려되고 있다. 쇠고기 협상 파문 대처에 미흡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김중수 경제수석의 경질도 거론된다.

박재완 정무수석의 한계론도 나온다. 하지만 의원이었던 사람을 불러 쓰고 있는 마당인 만큼 그의 전공으로 공석인 사회정책수석 자리를 주고, 대신 맹형규 전 의원 등 중진급을 기용해 정무를 강화하는 방안을 모색 중이다.

◆소외 계층 대책=청와대는 쇠고기 파문이 수습 곤란 지경까지 간 데에는 서민과 지방민 등 소외 계층의 불만이 누적된 까닭이라고 파악하고 있다. 때문에 높은 유류 값과 생필품 값에 허덕이는 서민들을 위해 정부가 직접 지원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서민 대책을 위한 추경 추진도 한 방안이다.

지방에 대한 대책이 구체적으로 제시될지는 미지수다. 일각에서는 국민 모두가 어렵지만 특히 지방이 어렵다며 지방 미분양 아파트 대책을 조기에 내놔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청와대의 체감 정도는 낮은 편이다. 혁신도시 재검토에 대한 반발 이외에는 지방의 반발이 위기감을 불러 일으킬 정도는 아니라고 보고 있는 것이다. 대구 출신 한 의원은 그러나 "국정 쇄신책에 지방에 대한 대책이 반드시 포함돼야 이 대통령에 대한 지지도를 제고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하고 있다.

최재왕기자 jwchoi@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