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차장 문제 어떻게 해결하나.'
낮에는 시내버스만, 밤에는 택시만 운행 가능한 전국 최초의 '대중교통전용지구(대구역~반월당·1.05km)' 사업이 본격적인 디자인 설계작업에 착수했지만 이 일대 주차장 진입로 문제가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시내버스 운행만 허용될 경우 사설유료주차장과 건물 부설 주차장이 진·출입로를 잃기 때문.
대구역 인근에서 사설유료주차장(1천625㎡)을 운영중인 A씨는 "대구시가 주차장 부지를 매입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그는 "대중교통전용지구가 시행되면 주차장의 출입구를 이용할 수 없게 돼 심각한 영업난이 예상된다. 공사 진행에 따른 세금감면 등의 혜택도 줘야 한다"며 "만일 시가 이런 대안 없이 사업을 강행할 경우 법적 조치를 강구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대중교통전용지구 일대 빌딩의 부설주차장 문제도 해결해야 할 숙제다. 시에 따르면 부설주차장은 센트럴엠, 우리은행, 국민은행, 우리투자증권, 하나은행, 아카데미극장 등 6곳(472면)으로 일부는 사업 시행을 반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은행 관계자는 "주차장 사용이 어려울 경우 직원들은 물론 고객들의 불편도 예상된다"며 "본사 차원에서는 추이를 지켜보자는 입장이지만 불가피하게 유료주차장을 사용하게 될 경우 대구시가 어떻게 지원할지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시는 현금수송차량 등 긴급차량의 경우 경찰에서 통행증을 발급해 예외적으로 운행할 수 있도록 계획중이다. 빌딩내 부설주차장은 중구청을 통해 용도변경을 돕고, 다른 용도의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대구시 관계자는 "5년 전 구상한 대중교통전용지구가 상인들의 반대를 극복하고 착공을 준비중이지만 인근 주차장 처리방안을 놓고 고민 중"이라며 "다양한 대안을 마련해 설득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대구시는 지난달 8일 대중교통전용지구 설계 현상공모에 뽑힌 ㈜씨토포스와 2억5천300만원에 기본·실시설계 계약을 맺고 오는 11월 최종 디자인을 확정, 내년 5월 착공할 계획이다.
서상현기자
댓글 많은 뉴스
[단독] 예성강 방사능, 후쿠시마 '핵폐수' 초과하는 수치 검출... 허용기준치 이내 "문제 없다"
[르포] 안동 도촌리 '李대통령 생가터'…"밭에 팻말뿐, 품격은 아직"
이재명 정부, 한 달 동안 '한은 마통' 18조원 빌려썼다
李 대통령 "검찰개혁 반대 여론 별로 없어…자업자득"
"김어준 콘서트에 文·김민석 줄참석…비선실세냐" 野 비판